| 
4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전 대표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년 숫자 변경은 이미 60세 정년에 가까워진 기성세대에 유리하고, 청년세대의 일자리와 급여, 직급, 직무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평균수명이 늘어난 만큼 더 오래 일해야 하는 현실은 분명하지만, 연공서열제가 유지된 채로 정년 숫자만 늘리는 것은 해법이 아니다"라며 "60세 이후 국민연금 수급 연령까지 새로운 조건의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재고용' 방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국회에서 정년연장특위를 출범시키고, "2033년까지 법정 정년을 만 65세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고령층 고용 안정과 청년 일자리 창출이 병행될 수 있도록 세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정부 역시 지난 6월 만 60세인 현행 정년을 만 65세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연내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민주노총은 "임금 삭감 없는 정년 연장"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