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설계에 사회적 합의 필수”…갈등 완화·통합 메시지
  | 
원 장관은 4일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이 "수천 년간 누적된 구조적 성차별을 해소하는 게 성평등부의 우선 과제"라며 "남성이 느끼는 역차별 문제도 중요하지만 우선순위는 양보할 수 없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원 장관은 "저는 '역차별'이라는 용어보다는 '다른 성별이 불이익으로 느끼는 문제'라고 표현하고 싶다"며 "그런 불이익의 감정을 부처가 경청하고, 사회통합으로 나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정부가 공공 영역에서 여성 가산점이나 여성 할당제를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양성평등 채용 목표치에 따른 실질 혜택도 여성이 특별히 많지 않다"며 "남성들이 느끼는 상실감에는 공감하지만 사실과 다른 '역차별 존재론'에는 분명히 선을 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장관은 이에 대해 "공론의 장에서 성별 간 이해를 높이고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며 "성평등정책의 방향은 구조적 차별 해소와 사회 통합의 병행"이라고 말했다.
이인선 성평등가족위원장(국민의힘 의원)은 "성평등가족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불합리한 부분을 바로잡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여전히 여성의 승진 등 미해결 과제가 많은 만큼 묻히지 않게 살펴봐야 한다"며 "성평등부보다 가족을 포함한 '성평등가족부' 전체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원 장관은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여성 비율이 여전히 낮다는 지적에 대해 "젠더폭력 대응 등 현장과 연구, 정책이 단절됐던 부분을 복원하기 위해 취임 이후 전문가들과 계속 논의 중"이라며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과 정책을 적극 챙기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