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 위원장은 이날 공개 발언에서 "청주공항은 이미 지방공항 중 네 번째로 큰 규모로, 연간 이용객이 458만명을 돌파했고, 올해는 국제선만 174만명을 넘었다"며 "군(軍) 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구조로는 더 이상 항공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주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은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공통 공약이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라며 "오는 2026년 예산안에 용역비 5억원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엄 위원장은 또 "청주공항은 행정수도 세종의 관문이자 수도권 대체공항으로서, 인천공항의 포화에 대비한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인프라"라며 "공항이 살아야 충청이 살고, 충청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균형적으로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엄 위원장은 청주공항을 중심으로 한 교통망 확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교통망이 확충되면 세종~청주~제천, 강원까지 이어지는 내륙 성장 벨트가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북이 추진 중인 K-바이오 스퀘어, KAIST AI·BIO 영재학교, 서울대병원 R&D 임상병원 등 첨단산업 인프라를 언급하며 "공항과 산업·교육·의료가 연결되면 충북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바이오 메가 허브'로 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송언석 원내대표는 "충청이 바로 서야 대한민국이 바로 선다"고 강조하며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충청 지역 지역 민생 예산정책협의회에는 장동혁 당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등 당 지도부가 총 출동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