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부산시, 전국 최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에너지신산업 거점 도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5010002612

글자크기

닫기

조영돌 기자

승인 : 2025. 11. 05. 16:35

KakaoTalk_20251105_131439766
박형준 부산시장은 5일 오후 1시 시청 9층 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이하 분산 특구)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조영돌 기자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돼 에너지저장장치(ESS) 인근 산단에 값싼 전기 공급이 가능 하게 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5일 오후 시청 9층 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이하 분산 특구)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부산 지역은 다른 시·도시에 비해 전력 자립도가 높지만 지역간 전력 수급 불균형과 공급 불안정이 지속돼 왔다. 이번에 지정된 '부산형 분산 에너지 특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률이 낮은 심야전기를 소비자 중심의 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에너지 구조로 전력 흐름을 분산시키고 출력 제한 등으로 버러질 수 있는 전력도 저장해 활용함으로써 도시 전체의 에너지 효율성과 자립도를 높이는데 있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 중 하나이다.

특히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특구에서는 분산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지역 단위의 자립적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부산시는 분산 특구의 3가지 유형(전력수요유치형, 공급자원유치형, 신산업활성화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됐으며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 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 내용으로 추진한다.

분산 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명지녹산, 미음, 신호, 화전, 생곡, 국제물류도시)로 총 49.9㎢에 달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인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공급함으로써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장치이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함께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인공 지능(AI) 기반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을 결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함으로써 미래형 에너지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분산 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산업체 전기요금 절감 △전력 설비투자비 절감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 △기업 유치 촉진 등 다각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2030년까지 총 500메가와트아워(MWh) 규모의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를 통해 기업들은 심야 등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한 전력을 최고조(피크) 시간대에 활용함으로써 기업별 최대 8퍼센트(%) 수준, 부산 전체적으로 연간 157억 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의 경우 무정전 전력 공급을 위한 개별 설비 설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지만, 분산 특구 내 에너지저장장치(ESS) 구독 서비스를 통해 총 2500억 원 규모의 설비 투자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재생에너지의 과잉·과소 공급을 조정함으로써 태양광 등 분산 전원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고, 연간 44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관련 산업 활성화에 큰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산 특구 내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총 500메가와트아워(MWh)의 전력 저장이 가능하며, 이는 약 4만2000 세대의 하루 사용량이자 첨단 데이터센터 5개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이다.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첨단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부산의 산업 경쟁력과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우리시는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조영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