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국내외 민간, 연구기관들 5개 사와의 협업을 통해 3년에 걸쳐 진행된다. 국내 자율운항선박 솔루션 전문업체 '케닛(주)' '(재)부산테크노파크' '전남대산학협력단' 그리고 캐나다의 해양 감시 및 영상장비 전문업체 'Current Scientific Corporation'이 참여한다.
연구의 핵심 내용은 기존 시스템이 가진 야간·악천후 환경에서의 탐지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단순 경고기능에서 나아가 장애물을 탐지하고 회피하는 일련의 과정에 AI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항만 자율운항 보조시스템은 레이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선박위치·속도·방향 등 주요정보 자동송수신장치),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표시정보시스템) 등 정형화된 항해 장비에 의존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 장비들은 소형선박에는 미탑재된 경우가 많고 안개·비·야간 등의 조건에서는 인식률이 떨어지고 탐지 오차가 생겨 충돌 위험이 증가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파노라마 적외선 영상 기반 센서 기술을 통해 전방위 시야를 확보하고 악천후 등 제한시계에서도 안정적인 객체 탐지를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아울러, 동시에 이번 과제는 기존 시스템이 단순 장애물 경고에만 그쳤던 것에서 벗어나, AI를 기반으로 장애물탐지-위험평가-충돌회피판단-경로재계획에 이르는 하나의 통합 장애물 회피 의사결정 구조를 구현한다.
송상근 사장은 "이번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부산항이 항만에서의 자율운항선박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