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복대학교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 ‘왕숙천문화제’서 다산 정약용 거중기 실감형 3D 콘텐츠 선보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5010002751

글자크기

닫기

정나리 기자

승인 : 2025. 11. 05. 17:00

경복대학교
경복대학교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 이승현 학과장(오른쪽)과 학생들이 '제12회 왕숙천문화제' 체험관 운영 부스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지인, 한아름(카자흐스탄), 에밀리(루마니아) 학생./경복대학교
경복대학교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가 지난 10월 25일 남양주시 도농체육공원에서 열린 '제12회 왕숙천문화제'에서 '다산 정약용 거중기 3D 실감콘텐츠 체험관'을 운영하며 지역민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이번 체험관은 조선 시대 과학자 다산 정약용의 대표 발명품 '거중기'를 현대 디지털 기술로 재현한 것으로, 조선의 과학정신을 첨단 미디어를 통해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현장에서는 거중기의 시뮬레이션 축소 모형과 함께 3D 홀로그램, VR(가상현실), AI 기반 영상콘텐츠 등이 선보였다. 특히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3D 실감형 콘텐츠와 AR 스마트글라스 체험 시스템을 통해 관람객들이 거중기의 작동 원리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AI 기술로 구현된 '디지털 휴먼 다산 정약용'이 발명 원리를 직접 설명하는 영상도 공개되어,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흥미롭게 참여했다.

이승현 학과장은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는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을 새롭게 재해석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AI와 VR 기반의 실감형 교육콘텐츠 개발 역량을 현장에서 검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협력해 문화·기술·교육이 결합된 융복합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복대학교 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는 산학협력단과 함께 디지털트윈, XR, 홀로그램 등 차세대 기술을 접목한 실감미디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를 바탕으로 지역축제나 산업현장에서 실무형 콘텐츠를 직접 제작·운영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이어가며, 미래 디지털미디어 산업을 선도할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고 있다.
정나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