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민첩 중심 개편, 미래형 행정 리모델링
재정위기 속 ‘선택과 집중’ 조직개편 추진
|
이번 개편은 지난 7월에 이어 권한대행 체제에서 두 번째로 이뤄지는 것으로, '안정 속의 변화'를 목표로 추진된다.
주요 개편 내용을 보면, 먼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사업 추진을 위해 신공항건설단 존속 기한을 기존 2026년 1월에서 2029년 1월까지 3년 연장한다. 또, 국가 재정지원 확대 대응을 위해 공항재정과를 신설하고, 대통령실과 관계부처와 협력을 강화한다.
둘째, 대구경북 행정통합추진단을 폐지하고 광역협력담당관을 광역행정담당관으로 확대 개편한다. 이를 통해 대경권 공동협력체계 구축과 '5극 3특' 중심의 국가균형발전 전략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셋째, 공공기관 관리·감독 기능 강화를 위해 예산담당관의 관련 기능을 평가통계담당관으로 이관하고 평가혁신담당관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또한 감사위원회 내에 보조금감사팀을 신설해 보조금과 민간위탁사업의 부정 사용을 예방한다.
넷째, AI 산업 전담기구인 AI정책과를 신설해 'AI 로봇수도' 실현과 지역 산업의 AI 전환을 추진한다. 기획조정실 내에는 AI행정혁신팀을 신설해 공공부문 AI 행정 혁신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다섯째, 통합돌봄체계 구축과 신청사 건립사업 추진을 위한 조직 강화도 병행된다. '돌봄정책팀'을 신설해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대비하고, 신청사시설팀을 설치해 2030년 준공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낸다.
이번 개편으로 대구시 조직은 기존 1단·3실·16국·1본부·6사업소에서 1국 3과가 줄어 1단·3실·15국·1본부·6사업소 체계로 조정된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신공항 건설, AI 로봇수도 건설, 신청사 건립 등 주요 현안이 흔들림 없이 추진되도록 하겠다"며, "민생 안정과 미래 먹거리 육성에 차질이 없도록 효율적이고 민첩한 조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붙임]_제321회_정례회_김정기_권한대행_시정연설_사진_4](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06d/202511060100058510003483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