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플레 우려 속 中, 10월 소비자물가 소폭 반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9010004464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11. 09. 17:14

전년 대비 고작 0.2% 상승
최대 명절인 국경절 효과 불과
생산자 물가는 37개월 연속 하락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물가 하락으로 인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 물가 하락) 압력에 직면한 중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소폭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clip20251109171313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압박에 여전히 시달린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만평. 만평처럼 경제가 자극을 받아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징지르바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10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 추석과 연휴가 겹친 국경절 효과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중국의 CPI는 8월 -0.4%, 9월 -0.3%로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다 역시 예상대로 연중 최대 연휴인 국경절이 포함된 10월 들어 플러스로 전환했다. 시장의 0% 상승 전망치도 약간 웃돌았다.

지난달 CPI를 부문별로 나눠보면 도시 CPI는 전년 대비 0.3% 상승했다. 농촌에서는 0.2% 하락했다. 또 식품 물가가 2.9% 떨어졌으나 비식품 물가는 0.9% 올랐다. '도시·비식품' 분야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 소비재와 서비스 물가는 모두 0.2%씩 올랐다.

지난달 중국의 물가 상승은 생활용품 및 서비스(+1.9%)나 의류(+1.7%), 기타용품 및 서비스(+12.8%), 의료·보건(+1.4%), 교육·문화·오락(+0.9%), 주거(+0.1%) 등 비식품 분야 전반에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식품은 달걀(-11.6%)과 축산류(-7.4%), 돼지고기(-16.0%), 채소(-7.3%), 과일(-2.0%), 곡물(-0.7%) 등에서 가격 하락세가 유지됐다. 수산품(+2.0%)만 가격 상승을 보였다.

10월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1% 하락하면서 시장 전망치 -2.2%에 부합했다. 중국 PPI는 2022년 10월부터 3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 중에 있다. 그러나 낙폭은 8월과 9월의 -2.9%나 -2.3%보다 다소 줄어들었다.

이와 관련, 둥리쥐안(董莉娟) 국가통계국 수석통계사는 "10월에는 내수 확대 등 정책 조치가 지속해서 효과를 냈다. 국경절과 추석 연휴의 유발효과가 겹치면서 CPI가 전월과 전년 대비 0.2% 올랐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핵심 CPI는 전년 대비 1.2%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디플레이션 개선 효과가 한정적이었다는 사실을 고백했다고 해야 한다. 중국 경제가 여전히 불확실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말도 될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