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산업 융합" 全부처 혁신 지원
"경제성장 돌파구" 환경·해양도 힘
|
◇내년 AI 예산 10조…15대 선도 프로젝트 본격 추진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I 대전환의 핵심은 기업·공공·국민·기반조성 등 4대 영역에 걸친 15대 선도 프로젝트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내년 AI 관련 예산을 약 10조1000억원으로 확대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약 3조3000억원)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제조업과 AI를 결합한 피지컬 AI 1등 국가를 목표로 AI로봇·AI자동차 등을 비롯한 7대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공공부문에서도 3대 선도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모든 업무에 AI를 도입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기재부는 세제 정책에서도 AI 혁신을 전략적으로 지원한다. 올해 세제 개편안에서는 생성형·에이전트형 AI, 저전력 AI컴퓨팅 등 첨단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투자 세액공제 등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산업 육성을 넘어, 행정·정책 집행 전반의 AI 기반화를 전제로 하는 정책 방향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공공기관의 AI 도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계획도 내놨다. 구 부총리는 지난달 28일 열린 '2025 공공기관 AI 대전환(AX) 워크숍'에서 "AI 등 혁신 노력에 대한 경영평가 가점을 신설하고, 내년도 예산에도 관련 사업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과기부, AI 예산 절반 담당…환경·해양도 AI 혁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내년도 예산안은 23조700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이 가운데 연구개발(R&D) 예산은 11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0% 이상 늘었다. 특히 정부 전체 AI 예산 10조1000억원 중 과기부가 약 5조1000억원을 담당하며, 'AI 대전환' 관련 사업에만 4조460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기반으로 과기부는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5000장을 추가로 확보해 AI컴퓨팅 자원 활용 기반을 강화하고,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과 대형·중소 데이터센터 간 고성능 네트워크 연동, GPU 공동활용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또 AI 반도체와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피지컬 AI 등 차세대 핵심기술 투자를 병행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AI 기반 폐기물 선별 로봇을 활용해 재활용품을 자동 분류하는 기술을 시범 적용하고 있다. 해수부는 항만과 수산 분야에 AI 및 빅데이터 기반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화에 나서고 있다. 항만에서는 컨테이너 크레인 자동화·AI 운용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수산업 분야에서는 올해 2.7%에 불과한 스마트수산업 보급률을 2030년까지 10%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정부의 AI 대전환 정책은 적절한 방향 설정으로 보인다"며 "다만 당장 AI 강국인 미국과 중국 수준으로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은 리스크가 있다.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고 전문가들과 논의를 거쳐 과감한 투자를 진행할 시기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