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간기획] 美 ‘민간주도’ vs 中 ‘국가개입’… 디지털 주도권 샅바싸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457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11. 10. 06:00

美, 빅테크사 중심 對中견제 강화
中 'AI 자립 생태계' 구축 최우선
인공지능(AI)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기술과 안보,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양국의 대립은 단순한 기술 개발 경쟁을 넘어, 국가의 산업 구조와 안보, 그리고 '소버린(sovereign·주권) AI'를 둘러싼 새로운 질서 재편으로 확산하고 있다. AI는 더 이상 특정 기업의 혁신 기술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 주권과 안보를 좌우하는 전략 자산으로 인식된다.

미국은 엔비디아,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등 민간 주도형 혁신 생태계를 중심으로 세계 AI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화웨이 등 대형 정보기술(IT) 기업과 함께 국가 주도의 'AI굴기' 전략을 추진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에 이어 트럼프 행정부 2기는 "AI 패권은 곧 국가 생존 문제"라는 인식 아래, 대중(對中) 견제를 더 노골화하고 있다. 미국은 AI 패권을 지키기 위해 전방위 압박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반도체 및 AI 관련 장비 수출을 대폭 제한하며, AI 산업의 핵심인 연산력(Compute)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AI 학습에 필요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와 AI 반도체의 대중 수출 금지가 대표적 조치다. 엔비디아·AMD 등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중국에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 재무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은 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AI 모델 등 모든 핵심 인프라를 자국과 동맹국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칩4 동맹(Chip4 Alliance)' 등 다자간 협의체를 주도하며, 초거대 언어모델(LLM)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장악한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AI 플랫폼의 국제 표준을 주도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목표는 "AI 시대의 규칙을 미국이 만든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AI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규정하고,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2017년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新一代人工智能發展計劃)'을 통해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AI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베이징·선전·상하이 등 1선 도시에는 AI 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자체 GPU·클라우드 인프라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AI 연구개발(R&D) 예산 증액, 세제 감면, 금융 지원, 각종 보조금 등 전방위적 재정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제재 속에서도 "AI 자립 생태계"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며, '내순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를 통제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며, 기술 윤리를 주도하는 국가가 21세기 디지털 질서를 설계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격화할수록, 세계는 두 블록 사이에서 기술적 자율성과 선택권을 지키기 위한 'AI 주권 경쟁'으로 향하고 있다. AI를 누가, 어떻게 통제하느냐가 곧 미래 국가의 힘을 결정짓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