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간기획] 이재성 교수 “AI 생존의 문제… 글로벌 리딩 그룹 합류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495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11. 10. 06:00

[인터뷰] 이재성 중앙대학교 AI학과 교수
엔비디아 의존 등 인프라 자립 부족
공공데이터 개방·민간 연계 정조준
우리기술·기준 맞는 AI 구축 필요
이재성 중앙대학교 AI학과 교수
AI(인공지능)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전 세계가 AI 주도권 경쟁에 뛰어드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국은 오픈AI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초거대 AI와 반도체 생태계를 장악하고 중국은 자국 기술로 '디지털 주권'을 강화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세계 최초의 AI법(AI Act)을 제정하며 '윤리와 규범의 패권'을 앞세웠다.

아시아투데이는 창간 20주년을 맞아 'AI 패권시대'가 도래한 현시점에서 한국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앞으로의 'AI 주권'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이재성 중앙대학교 AI학과 교수와 이야기를 나눴다.

-'AI 패권 시대'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지능 자원을 누가 쥐느냐의 문제다. 데이터, 인프라, 알고리즘이 결합돼 한 나라가 그걸 독점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시대를 가리킨다. 지금 미국, 중국, EU가 AI 기술 표준과 윤리를 중심으로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결국 AI를 통해 각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새로운 형태의 권력 경쟁이다. 한국도 글로벌 리딩 그룹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인 전략을 취해야 한다."

-AI가 왜 국가 경쟁력으로 떠올랐나. 과거와 비교한다면.

"과거 반도체나 인터넷 경쟁은 단일 산업 내의 경쟁이었다. 그러나 AI는 제조, 금융, 의료 등 모든 산업에 내재화될 수 있는 기술이다. 특정 산업의 경쟁이 아니라 전 산업의 융합 경쟁이란 얘기다. 국지전이 아닌 전면전에 가깝다. AI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된 국가는 비약적인 생산성과 정밀성을 바탕으로 기존 산업구조에 머무는 국가와 격차를 벌릴 수밖에 없다."

-'소버린 AI'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른 이유는.

"AI 중심 사회로 전환되면 그 AI를 구동하는 원천이 외국인지 국내인지에 따라 국가 주권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안보 분야에서는 외산 AI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그렇다고 성능이 떨어지는 AI를 쓸 수도 없다. 결국 우리 기술과 기준에 맞는 AI를 자체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그렇다면 '소버린 AI'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현재 한국의 AI 주권 수준도 궁금하다.

"'소버린 AI'의 핵심 요소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뉜다. 국가 데이터를 활용해 AI 학습 방향을 결정하는 '데이터 주권', 국내 인프라로 학습을 뒷받침할 '연산 인프라 자립', 한국의 법과 문화에 맞는 '정책과 윤리', 국내 산업 생태계를 키울 '경제·산업 생태계 보호', 마지막으로 '문화적 정체성'이다. 한국은 현재 완전한 자립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국가 전략과 산업 인프라는 잘 구축돼 있지만 여전히 엔비디아 GPU 등 외산 인프라에 의존도가 크다. 데이터 표준과 윤리 규범도 완성되지 않았다. AI 주권을 논하려면 법, 제도, 문화까지 함께 성장해야 한다."

-AI 주권 확보를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결국 핵심은 인재다. 데이터, 인프라, 정책, 생태계 모두 사람이 만든다. 지금은 고급 연구 인력에 집중돼 있지만 산업 현장에서 기술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응용형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 특히 인재 유출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국내에 머무를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석사 연계과정 활성화, 현장 전문가의 대학원 진학 지원, 기업·공공기관 연수 프로그램 등 지속 가능한 인재 순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한국 대기업들의 AI 투자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나. 경쟁을 위한 현실적인 전략은.

"한국 기업들의 가장 큰 강점은 빠른 실행력과 유기적 협력 구조다. 계열사 간 긴밀한 기술 융합이 가능해 의사결정 속도가 빠르다. 다만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범용 거대 모델 경쟁에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산업별 특화형 AI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가치 창출에 집중해야 한다. 또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과 민간데이터 연계 등 기술을 뒷받침할 거버넌스 구조를 강화해야 한다."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