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농식품부, 산업용 미생물 보존 강화… 그린바이오 활용도 높인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801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11. 10. 19:58

10일 농진청 등 3개 기관과 협약 체결
주요 323균주, 국가 차원서 중복 보존
이중 관리 체계로 유실 위험 최소화
사진 1
김민호 농림축산식품부 그린바이오산업팀장(오른쪽 두 번째)이 10일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첨단산업단지복합문화센터에서 열린 '그린바이오 산업용 미생물 안전중복보존 협약식'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가 '그린바이오' 산업의 핵심 소재로 분류되는 산업용 미생물의 보존 역량을 높이기 위해 유관기관 협업을 강화한다.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과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첨단산업단지복합문화센터에서 '그린바이오 산업용 미생물 안전중복보존 협약식'을 열고 관련 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고 10일 밝혔다.

행사에는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3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식은 농식품부가 수립한 '제4차 농업생명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2024~2028)'의 세부 이행 과정 중 하나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농업생명자원의 수집·평가·보존·관리 및 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해당 계획을 수립했다.

유관기관 협업을 통해 산업적 가치가 높은 미생물의 멸실을 예방, 주요 농업생명자원에 대한 안전적 확보 및 관리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협약으로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와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이 보유한 주요 미생물 323균주는 정부가 지정한 국가 미생물 중앙은행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은행(KACC)에 액화질소 및 초저온 냉동 방식으로 중복 보존된다.

단일 기관에서 보관하던 미생물을 국가 차원에서 한 번 더 보관, 자연재해나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한 자원 유실 위험을 최소화하는 이중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보존된 미생물은 기탁기관의 승인 없이 출고되거나 공개되지 않는다. 최초 5년 동안 보존 후 5년 단위로 연장이 가능하다. 보존 과정은 전산 시스템으로 기록·관리해 자원 보안성 및 신뢰성도 확보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산업적 가치가 높은 미생물은 발효식품, 바이오농약·비료, 사료첨가제 등 그린바이오 산업의 핵심 소재"라며 "민·관 협력을 확대해 농업생명자원의 산업적 활용과 국가 보존 체계 강화를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바이오는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 농업 및 관련 전·후방산업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新)산업을 말한다. 핵심 분야는 종자,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동물용의약품 등 크게 6가지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