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 중요…AI 기반 혁신·전략적 이민정책 추진"
|
주 부위원장은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저출생대책국민운동본부 출범 3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저출생 극복의 길을 열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기념식과 세미나로 나눠 진행됐으며, 종교계와 기업, 지자체가 참여해 각자의 실천사례를 공유했다.
이날 행사에서 주형환 부위원장은 기조발제를 통해 한국의 인구위기 상황을 설명하고,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더해 기업 등 경제계와 종교계, 방송언론계, 지자체 등 범사회적 동참을 당부했다.
그는 "지난해 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한데 이어, 올해 출생아 수도 전년보다 6% 이상 증가한 25만명 이상에 이를 전망"이라며 "이는 정부 지원에 추가지원을 보탠 경제계와 지자체, 인식개선에 앞장서준 종교계와 언론계 등 민간의 동참 덕분" 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저출생 추세 반전의 기세를 확고한 반등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5년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경제·사회구조적 혁신을 해나가며 △초저출생 대응 △초고령화 대응 △전략적 이민정책의 3대 축을 중심으로하는 인구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초저출생 대응을 위해서는 AI기술을 기반으로 시차출퇴근제와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가 기본이 되도록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다. 이를 통해 구축된 맞돌봄 환경으로 '직장 내 성평등, 가정 내 맞돌봄'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초고령화 대응은 AI 기반으로 재가중심의 '새로운 통합의료·요양·돌봄체계'를 구축하고, '에이지테크 활성화'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구조화된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숙련 인력을 타겟팅해 유입-정주-통합의 전(全)주기를 관리하는 전략적 이민정책 추진도 병행한다.
끝으로 주 부위원장은 "저출생대책국민운동본부가 아이를 낳고 키우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범사회 연대 플랫폼으로서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활동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