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대폭 증가
금감원, 2금융권 사업자대출 유용 점검 이달 마무리
![]() |
| 자료=금융감독원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
가계대출이 10월에만 4조8000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전달보다 4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주식시장 호황에 따라 빚투 등의 영향으로 신용대출이 크게 늘어난 데다,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상호금융과 여신전문금융사 등 2금융권 대출이 대폭 증가한 점도 가계대출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13일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권 가계대출은 10월 4조8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6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줄어든 규모이지만, 전달보다는 3조7000억원이나 증가한 수치다.
주택담보대출은 이 기간 3조2000억원 증가하며 전달보다 증가폭이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달 2조4000억원 감소에서 10월 1조6000억원 증가로 돌아섰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국내 증시가 많이 상승하면서 ETF(상장지수펀드) 등 간접투자 수요가 늘었고, 주택거래 선수요 관련해서 계약금 등 자금 조달 수요가 있었을 것으로 본다"며 "추석 긴 연휴로 인한 자금 수요가 맞물린 것으로 보이지만, 주담대가 줄고 기타대출이 늘어난 것을 풍선효과로 보기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 늘면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2금융권 가계대출도 대폭 늘었다. 전달에는 8000억원가량 줄었지만 10월에는 1조3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보험과 여신전문금융사는 전달과 달리 증가세로 돌아섰고, 저축은행은 가계대출 감소폭이 축소됐다.
한편 이날 금융위는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총량관리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10월 가계대출 증가와 관련해서는 2금융권 대출 증가와 함께 10월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 증가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신 사무처장은 "전체적으로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량목표 범위 내에서 원활히 관리되고 있다"면서 "10.15대책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연말 주담대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고, 통상 11월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인 만큼 향후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 사무처장은 또 "7월부터 10월까지 은행권의 사업자대출 용도외 유용실태 점검시 위반사례가 45건 이상 발생했다"며 "2금융권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2금융권에 대한 현장점검을 이번 달 내로 마무리하고 위반 차주에 대해서는 대출 회수 등 조치를 연내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