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윤리센터는 신고인 또는 피해자의 2차 피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 같은 제도를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신원 노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고인 또는 피해자의 이름을 알리지 않는 제도로 조사 신뢰성을 대폭 끌어올렸다는 설명이다.
올해 10월까지 접수한 체육계 인권 침해·스포츠 비리 사건은 총 1231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648건 대비 90% 늘어난 수치다. 폭력과 성폭력 등 인권 침해 사건은 기존 290건에서 71% 늘어난 497건이 접수됐다. 센터 출범 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사건 처리 건수도 기존 604건에서 71% 늘어난 1033건으로 집계됐다. 사건 처리 평균 소요 일수는 127일이다. 기존 152일에서 25일이나 줄였다.
스포츠윤리센터 박지영 이사장은 "신고 접수와 처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체육계 구성원들이 센터를 신뢰하고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특히 학생 선수들이 폭력, 성폭력 등 인권 침해를 용기 내어 신고한 뒤, 신고자를 추적하거나 따돌리는 형태의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체육계 전반의 인식 변화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