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175.2%…6개월새 0.9%p↑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9010010257

글자크기

닫기

이선영 기자

승인 : 2025. 11. 20. 06:00

clip20251119172047
/금감원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0일 DB, 삼성, 다우키움, 교보,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6월 말 자본적정성 비율은 175.2%로 전년 말(174.3%)보다 0.9%%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자본적정성비율은 실제 손실 흡수 능력인 통합자기자본을 금융복합기업집단 수준의 추가 위험을 고려한 최소 자본 기준인 통합필요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금융복합기업집단감독법에 따라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자본적정성 비율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통합자기자본은 180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171조1000억원) 대비 5.3% 증가했다. 이익잉여금 증가 및 보험계열사 그룹의 자본성증권 발행 등에 따른 것이다.

통합필요자본은 102조8000억원으로 전년 말(98조1000억원) 대비 4.8% 늘었다. 보험계열사 그룹의 보장성 보험 판매 확대 등에 따른 장해·질병 위험액 증가 등이 통합필요자본 증가의 주요 원인이다.

금융복합기업집단별로는 DB(204.2%), 삼성(189.0%), 다우키움(186.7%), 교보(181.7%), 미래에셋(164.1%), 한화(152.0%), 현대차(147.8%) 순이다.

전년 말 대비 DB(+9.2%포인트), 삼성(+3.9%포인트), 현대차(+0.9%포인트)는 상승한 반면, 교보(-19.7%포인트), 다우키움(-7.1%포인트, 한화(-2.9%포인트), 미래에셋(-0.1%포인트)은 하락했다.

금감원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모두 규제비율을 상회하고, 손실흡수능력도 양호한 수준"이라며 "다만 대내외 시장지표 및 주요소속금융회사의 경영실적 등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전이·집중위험 등 그룹 내 리스크에 대한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강화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선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