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실질적인 탄소감축 기여하는 CCS 절실"
2035 NDC, CCUS 감축량 '2억톤' 목표
전문가 "정부차원 초기시장 형성 必"
|
2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기획재정위원회는 기후대응기금을 2096억원 증액하는 내용이 담긴 '2026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수정·의결했다. 특히 신규 예산 사업으로 'CCU 메가프로젝트'을 지정했다. 총 1422억원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한국중부발전(보령)과 한화토탈에너지스(서산)가 추진하는 CCU 메가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다. 당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CCU 메가프로젝트를 진행할 실증 부지 5곳을 선정했다. 이중 2곳이 올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내년 사업의 적기 착수를 위해 지원하겠다는 복안이다.
정부가 CCU 산업에 힘을 보태면서 업계에서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CCS'에 대해서는 정부가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이유로 한국석유공사의 CCS 예타 사업이 후순위로 밀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재생에너지나 수소에 있어서는 동력을 갖고 추진 중이지만, CCS 분야는 사실상 소강상태"라며 "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석유공사의 CCS 예타 순위가 뒤로 밀렸다. CCS 없이는 탄소 감축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CCS는 산업 공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해 감축하는 기술이기에 탄소감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CCS'가 해답이라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주력 산업이 '철강·시멘트·석유화학'으로, 3대 산업의 탄소배출량은 전체 산업부문 배출량의 70% 이상에 달한다.
CCU는 탄소를 분해·전환해 플라스틱 원료·시멘트 대체제 등 새로운 자원 혹은 생산품으로 바꾸는 것으로, 업계에선 재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김진수 한양대 교수도 "CCS를 배제하는 것은 철강 등 산업의 탈탄소 수단을 베재하는 셈"이라며 "탄소중립 전략상으로도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부에선 CCS를 통한 탄소감축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최근 확정된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서 정부는 2035년 탄소배출량 2억9690만톤(상한선)을 달성하기 위해 CCUS로 2억30만톤을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업계에선 CCS의 핵심인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로드맵이나 보조금 제도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호섭 한국CCUS추진단장은 "정부에서 CCS에 대한 적극적인 시그널을 줘야 한다"며 "CCS의 경제성 역시, 기업들이 CCS 사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면,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경제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