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4~5일 경기·대전·충남·영남권 재파업 예고…학교 운영 차질 불가피
|
23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와 교육부·시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이후 본교섭과 실무교섭을 총 7차례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연대회의는 최저임금 이상 기본급 지급, 동일 기준 명절휴가비, 방학 중 무임금 해소, 근속·복리후생 차별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급식실 폐암 산재 예방을 위한 학교급식법 개정과 교육공무직 법제화, 인력·예산 충원도 핵심 요구다.
교육당국은 기본급 7만2000원 인상과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안을 제시했을 뿐, 방학 중 무임금 등 다른 요구에 대해서는 "수용 어려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급식실 조리종사자의 '방학 중 무임금' 해소를 두고 양측의 의견 차가 가장 큰 상황이다.
27일에도 합의가 불발될 경우 연대회의는 다음 달 4~5일 재파업에 들어간다. 다음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에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에서 파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0~21일 1차 파업에는 9개 교육청 소속 공무직원 1만1408명(14.7%)이 참여했다. 전국 5339개교 중 1911개교(35.7%)가 급식을 중단했고, 초등돌봄과 유치원 방과후 과정도 일부 중단됐다.
현장에서는 학부모 불만이 빠르게 쌓이고 있다. 서울의 한 학부모는 "성장기 아이들이 정규 급식을 못 먹고 도시락이나 빵으로 때우는 날이 늘어 걱정된다"며 "매년 파업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는 것 자체가 지친다"고 말했다. 경기 지역의 한 학부모는 "학교마다 '도시락', '대체식', '간편식' 등 대응이 달라 아이들이 매일 상황을 물어봐야 한다"며 "오늘은 밥이 있는지 없는지부터 확인해야 하는 현실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서울에서는 교육공무직원 2만5487명 중 1451명(5.69%)이 파업에 참여했다. 급식 미운영 학교는 173곳으로 대부분 도시락 지참 또는 대체식을 제공했다. 서울교육청은 파업 중 교육활동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본청·교육지원청·학교별 상황실을 가동하고 있다. 식단 간소화, 도시락 지참 안내, 급식대체식 제공, 교직원 돌봄 투입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병행하는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