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데이터처가 24일 발표한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만7215가구 증가해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수는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다가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다. 증가 폭도 최근 들어 확대돼 2021년 3000 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구대,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로 커졌다.
반면 주택을 소유한 30대 가구는 감소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보다 7893가구 줄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무주택 가구가 주택 소유 가구보다 약 2.9배 많은 상황으로, 격차 역시 최대 수준이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2015년 23만7000가구에서 꾸준히 줄다 2021년에 소폭 반등했다. 히지만 이후 다시 감소해 2023년 19만1349가구를 기록, 20만선 밑으로 내려왔다.
이에 따라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은 지난해 25.8%에 그쳤다. 2015년 33.3%에서 8년 만에 7.5%포인트(p) 가까이 떨어진 것이다. 2021년(31.2%) 잠시 반등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해 25%대까지 내려왔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도 36.0%로 6년 연속 하락했으나, 서울과의 격차는 10%p 이상 벌어졌다. 서울 쏠림 현상과 서울 집값 급등이 청년층의 자가 진입을 특히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취업 시기 지연과 1인 가구 증가한 영향도 있다.
올해 들어 정부가 강화한 부동산·대출 규제까지 더해져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청년층은 여전히 내 집 마련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해 8~9월 전국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 고 답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 △전세자금 지원(22.3%)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등이 꼽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