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겨냥 파상 공세도 계속
日이 끊임없이 선 넘는다 강조
|
일본은 3국이 돌아가면서 담당하는 한중일 정상회의의 의장국을 이번 회의에 맡으면서 연내 개최를 추진했다. 그러나 임시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수면 아래에서 내년 1월에 여는 방안을 조율해 왔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 외교 경로를 통해 관계국에 "(다카이치) 총리가 적절히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회의에 응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지난달 21일 취임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존립 위기 사태'에 해당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당연히 즉각 반발했다. 이후 정부 부처와 관영 매체들을 동원해 연일 거친 비난을 쏟아냈다. 더불어 일본 여행 및 유학 자제령과 일본 영화 상영 중단,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차 중단 등 일본 경제와 다카이치 총리에게 충격을 줄 수단을 차례로 내놓는 중에 있다.
중국의 이런 강력 반발에 직면한 일본은 대만 문제에 관한 입장에 변함이 없을 뿐 아니라 중국과 대화 의지가 있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하면서도 발언 철회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23일 막을 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했던 리창(李强) 총리와 다카이치 총리는 회의 기간 내내 서로 접촉하지 못했다.
마오 대변인이 정례 뉴스 브리핑에서 "우리는 일본이 최근 '대만 문제에서 입장이 일관된다'고 한 것에 주목했다"면서 "일본이 말하는 '일관된 입장'의 구체적인 내용이 대체 무엇인가. 일본은 완전히 공개적으로 이 일관된 입장을 표명할 수 있는가"라고 물은 것은 때문에 당연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은 일본이 중국의 엄숙한 요구를 진지하게 대하고 실질적으로 반성·시정해 대(對)중국 약속을 실제 행동에 체현하면서 고집을 부리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인 것 역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었다. 양국 갈등은 장기전에 접어들 수밖에 없을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