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티몬·위메프사태에 이커머스시장 성장 둔화…승자독식체제 고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6010013843

글자크기

닫기

조은국 기자

승인 : 2025. 11. 26. 13:47

삼정KPMG, 이커머스 이끌 7대 트렌드 제시
티메프 사태 및 내수부진 영향에 온라인 쇼핑 거래액 성장세 위축
[이미지] 이커머스 비즈니스 트렌드에 따른 주요 Keyword (제공 삼정KPMG)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성장세도 둔화되고 있는데, 이에 이커머스 시장이 승자 독식체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정KPMG가 26일 발간한 '변화하는 이커머스 판도 속, 주목해야 할 비즈니스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 발생한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와 장기화된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한층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는 국내 이커머스 산업의 경쟁 환경이 최근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현지화 전략 확대와 이종업계 대형 플랫폼의 커머스 기능 강화로 업계 간 복합 경쟁 구도로 전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관찰되는 주요 비즈니스 트렌드는 신(新)연합전선과 CBEC(Cross-border Ecommerce), 수익구조 다각화, AI(인공지능) 혁신, 발견형 쇼핑, 셀러 확보 경쟁, 배송·물류 전략 등이다.

'신(新)연합전선'은 국내외 이커머스·버티컬 플랫폼 간 전략적 제휴를 통한 시너지 확대 움직임을 뜻한다. G마켓-알리익스프레스 합작법인 설립, 네이버-컬리의 '컬리N마트' 협업 등은 업계 간 파트너십 강화 기조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삼정KPMG는 이러한 협력 구조가 향후 이커머스 생태계 연결성을 높이고 경쟁 질서를 재정립할 것으로 전망했다.

CBEC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K-컬처 확산과 글로벌 소비재 수요 증가가 견인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해외 물류 인프라 구축,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익 구조가 다양한 방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쿠팡 클라우드 서비스, 무신사 리커머스 등 주요 기업은 신규 서비스를 론칭하며 기존 이커머스 중심의 단일 수익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이커머스업계는 AI 기술을 다각적으로 접목하고 있다. 상품 기획·물류·고객응대(CS) 등 밸류체인 전반으로 AI 기술 적용 범위를 넓히며 운영 효율성과 의사결정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편 특정 제품을 검색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상품을 콘텐츠 소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견하고, 구매까지 이어지는 '발견형 쇼핑(Discovery Shopping)' 방식이 새로운 쇼핑 패러다임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커머스 기업들은 소비자의 행동데이터나 선호도를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정교하게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체류 시간은 늘리고 구매 전환 기회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 '생태계 진화를 통한 지속 성장(Ecosystem Evolution)'과 '기술 기반 혁신(Tech-Driven Innovation)' '경험 중심 가치 고도화(Customer Experience)' '내실 강화와 경영 안정성 제고(Resilience)' 등을 제시했다.

삼정KPMG O2O플랫폼산업 전문팀 박홍민 상무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성숙기에 들어서며 단순 점유율 경쟁을 넘어 새로운 경쟁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며 "C커머스 기업의 공격적인 현지화 전략과 금융·커뮤니티 기반 대형 플랫폼의 이커머스 기능 강화로 경쟁 양상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커머스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확대, 기술 기반 서비스 혁신,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각적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조은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