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선전략 중대 분기점… ‘계엄 1년 메시지’ 고심깊은 국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7010014096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11. 26. 17:35

오늘 추경호 체포동의안 국회 상정
與 통과 자신… '표결 거부'로 대응
가결땐 '계엄 1년' 내달3일 법원 결론
'강공 vs 사과' 당 입장 표명에 촉각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나경원 의원, 김문수 전 대선후보 등 참석자들이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독립외교 40년 이승만의 외로운 투쟁 시사회'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송의주 기자 songuijoo@
국민의힘이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 국회 처리와 맞물린 '12·3 비상계엄 1년' 메시지에 어떤 내용을 담을지가 정국의 변수가 되고 있다. 체포동의안 처리 직후 장동혁 대표가 내놓을 문구에 사과와 전환을 동반한 국면 재편이 담길지, 기존 강공 프레임 유지에 방점을 찍을지에 따라 내년 6·3 지방선거 전략의 축이 달라질 것이란 전망이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추 의원을 '내란·비상계엄 책임 규명'의 정점으로 규정하며 체포동의안을 통과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12·3 불법 계엄의 잔재를 확실히 청산해야 한다"며 "추 의원이 표결을 방해한 사실이 드러난다면 내란의 중요 임무 종사자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힘의 논리'로 체포동의안은 물론 주요 법안도 밀어붙이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이 27일 본회의 상정 법안 전반에 필리버스터를 검토하자, 민주당은 이를 차단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발의하며 강행처리를 예고했다.

국민의힘은 체포동의안 표결 거부를 공식화하며 정면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당 지도부는 "추 의원 건은 개인 문제가 아니라 당 전체를 '내란정당'으로 규정하려는 기획"이라며 여권의 프레임 전략에 말리지 않겠다는 수비 전략을 펴고 있다. 당내에서는 이 사안이 단순 방어전을 넘어 향후 당 정체성과 선거 전략까지 연결되는 중대 분기점이라는 위기 인식이 공유되고 있다.

실제 이날 송언석 원내대표는 중진의원들과 연쇄 회동을 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회동에서는 '계엄 1년' 메시지 방향 설정, 대장동 항소 포기 국정조사 협상, 체포동의안 이후 대응 시나리오 등 현안이 검토됐다. 일부 중진들은 사과 여부를 포함해 지도부 책임 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변수는 추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 이후 장 대표가 '어떤 문장'을 선택하느냐다. 체포동의안이 27일 본회의를 통과하면 다음 달 2일 영장심사가 진행되고, 3일 새벽 법원의 결론이 공개된다. 시점이 '12·3 비상계엄 1년'과 겹쳐 있는 만큼, 장 대표의 메시지는 단순한 입장 표명이 아니라 향후 당의 움직임을 규정하는 기준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추 의원에 대한 사법처리 움직임이 빨라질 경우 국민의힘은 불씨 확산을 차단하고 지도부 책임 범위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반대로 구속영장 등이 기각될 경우 '내란 프레임이 실체를 상실했다'는 논리로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을 정권 심판론으로 재구조화하려는 흐름이 강화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이 경우 그동안 정체돼 있던 지지율 흐름에도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결과가 나오면 선택지는 사실상 하나로 좁혀진다"며 "그 한 문장이 장동혁 체제가 어디를 향하는지 드러내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