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도부 "수용 불가"에 무게
'당심 70%' 경선룰 두고도 이견
|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초·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장동혁 대표에게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사과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당 지도부는 '수용불가' 쪽으로 기울고 있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12·3 비상계엄 사태 사과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미 12·3 비상계엄에 대해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께서 사과를 아주 세게 했다"며 "당시 당내에 반발이 있을 만큼 사과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일회성 사과로서 과거의 잘못을 끊어내고 새출발할 수 있다고 믿는 것 자체가 잘못"이라고 말했다.
지방선거 경선룰을 둘러싼 잡음도 커지고 있다. 당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지방선거 경선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경선 방식은 '당원 투표 50% 대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하는 방식이었다. '7:3' 방안이 최종 확정될 경우 당원들의 영향력이 크게 강화되고 일반 국민의 영향력은 낮아진다. 이에 당내에서는 민심과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선 중진인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심과 거꾸로 가는 길"이라며 "폐쇄적 정당으로 비칠 수 있는 위험한 처방"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소속 최진봉 부산 중구청장도 전날 지선기획단 및 당 소속 시장·군수·구청장 연석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처럼 '개딸당'이 될 게 아니라 경선에서 민심 반영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당 지선기획단 대변인을 맡고 있는 조지연 의원은 "7대3 비율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장 대표도 "당대표로서 당원 권리 확대를 약속했다"며 경선룰 개편안에 힘을 실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이 당 안팎으로 위기의 파고를 마주하고 있지만, 정부·여당과 맞서기 위해선 단합이 우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장 대표도 최근 장외집회에서 단일대오를 강조하며 강력한 대여투쟁을 예고했다.
김성태 전 국민의힘 의원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이재명 대통령 권력도 절대권력이고 민주당의 입법권력도 절대권력"이라며 "야당이 죽기를 각오하고 덤벼들어야 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