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농업·농촌 정착 공감대 형성
|
27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K-농정협의체는 이날 오후 천안 '안녕 삼촌농부 농장'에서 제4차 농정소분과 회의를 진행했다. 농정협의체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 대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운영 중인 민관 조직이다.
이번 농정소분과 회의는 김진동 농식품부 2030 자문단장이 청년농을 대표해 농업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 단장은 청년농이 쉽게 농지를 임차할 수 있도록 수로·전기·통행로 등 농지 이용과 관련해 중요 내용이 포함된 임대 정보를 관리·제공해 달라고 제안했다.
또한 청년농의 농업법인 취업을 지원해 창업 전 재배기술 및 경영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촌 빈집을 청년 창업 공간으로 제공하고, 전문가 창업 멘토링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전했다.
회의 장소를 제공한 홍종민 대표는 개별 근로자 숙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농가들을 위해 '공공형 계절근로'를 확대하고, 농장 근로자들을 위한 화장실·휴게공간 등 설치가 가능하도록 농지 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건의했다.
농정소분과 위원들은 농지 정보 제공 체계 고도화가 청년농의 농지 탐색 비용 절감 및 농지 임대차 시장 활성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공감했다.
농업법인 취업 지원과 공공형 계절근로 확대 등도 청년농이 안정적으로 농업·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핵심 농정이라고 진단했다.
황의식(GS&J 원장) 농정소분과 위원장은 "현장 청년농들이 제안한 창의적 정책과제들은 K-농정협의체에서 충분히 논의하겠다"며 "정책에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농식품부가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