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황금연휴가 시작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롯데백화점의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5월 2~4일)에 비해 16.9% 신장했다.
완구 매출이 44.3%나 증가한 것을 비롯, 수입아동복 20.3%, 게임기 11.4% 등 어린이 관련 상품매출이 크게 늘었다. 특히 청소년에게 인기가 높은 디지털카메라 매출은 무려 117.5%나 급등했다.
또 선물용으로 구입하는 명품과 화장품이 각각 54.9%, 41.2%의 신장률을 보였고 구두(36.9%), 레저용품(29.9%), 일반스포츠(24.7%), 핸드백(18.5%) 등의 매출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도 1~3일 매출이 모든 점포를 기준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7.4% 신장했다. 지난 3월 오픈한 센텀시티점을 제외하더라도 11.6%나 매출이 늘었다.
같은 기간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과 AK플라자도 작년 동기 대비 각각 16.1%, 11.8% 증가했다.
이처럼 유통업계의 매출이 늘어난 것은 가정의 달을 맞아 백화점을 비롯한 유통업체들이 고객 유인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 행사를 펼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경기 회복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커지면서 꼭꼭 닫았던 지갑을 풀기 시작한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을 낳고 있다.
갤러리아백화점의 경우 ‘장애-비장애 아동 사회적응활동 돕기 자선 대바자’를 4월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서울역 광장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현대백화점도 매장내에 스튜디오를 마련하고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가족사진을 찍어주는 등 각종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유통업계의 4월 매출실적도 롯데백화점이 작년 동기 대비 8.2%, 현대백화점은 2.7% 신장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전 점포 기준으로 15.0% 신장했으며, 센텀시티점을 제외한 기존 점포 기준으로는 5.4% 신장했다.
갤러리아백화점과 AK플라자도 4월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각각 7%, 10.2% 증가했다.
대형마트인 신세계 이마트는 전 점포 기준으로 7.1%(기존 점포 기준 1.2%) 신장했으며, 홈플러스는 전 점포 기준으로 13.5%(기존 점포 기준 3.0%) 신장했다. 롯데마트는 전 점포 기준으로 9.5%(기존 점포 기준 3.5%)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 영업총괄팀 박주혁 팀장은 “장기 연휴에 들어간 첫 주말에 일본인 관광객뿐만 아니라 가정의 달을 맞아 선물 준비에 나선 내국인의 영향으로 매출이 호조세를 보였다”며 “앞으로도 공격적인 판촉활동을 통해 높은 신장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