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는 퇴직자와 퇴직을 앞둔 직원들을 대상으로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전직지원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1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미국·독일·프랑스·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직지원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인한 노동시장 침체 대책으로 연방정부 및 주정부 차원에서 비영리민간기관을 통해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연방정부의 예산 지원으로 캘리포니아 전역에 15개의 인력지원센터(WSC)를 운영 중이다.
독일은 기업이 직원 해고 시 1~7개월 전에 근로자에게 통보해야 하며, 기업의 약 90%가 퇴직을 앞둔 직원에 대한 전직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40% 이상 조기에 취업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프랑스는 기업이 경영상 직원 해고시 기업에 대해 국가와 '직업전환협정'을 체결하는 등 전직지원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직업전환협정 체결시 근로자는 6개월 동안 직업안정기관의 재취업지원과 실업보험기관의 특별수당을 지급받게 된다. 또 프랑스 내에서 전직지원서비스를 이용한 사람 중 평균 50%가 8개월 이내 재취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1982년에 시작해 정부와 산업계의 공동지원으로 전직지원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현재 시행 중인 기업은 약 300개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은 대부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정부지원 전직지원센터와 민간 센터의 시장 점유율을 50대 50이 되도록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앙정부는 연간 50억엔(약 579억원), 지방정부는 연간 5억엔(약 58억원)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