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앙코르커리어] 해외의 ‘전직지원서비스’ 운영 사례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782529

글자크기

닫기

강진웅 기자

승인 : 2013. 03. 19. 06:07

*[희망100세] 정부·공공기관·기업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시행

해외에서는 퇴직자와 퇴직을 앞둔 직원들을 대상으로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전직지원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1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미국·독일·프랑스·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직지원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인한 노동시장 침체 대책으로 연방정부 및 주정부 차원에서 비영리민간기관을 통해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연방정부의 예산 지원으로 캘리포니아 전역에 15개의 인력지원센터(WSC)를 운영 중이다.

독일은 기업이 직원 해고 시 1~7개월 전에 근로자에게 통보해야 하며, 기업의 약 90%가 퇴직을 앞둔 직원에 대한 전직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40% 이상 조기에 취업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프랑스는 기업이 경영상 직원 해고시 기업에 대해 국가와 '직업전환협정'을 체결하는 등 전직지원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직업전환협정 체결시 근로자는 6개월 동안 직업안정기관의 재취업지원과 실업보험기관의 특별수당을 지급받게 된다. 또 프랑스 내에서 전직지원서비스를 이용한 사람 중 평균 50%가 8개월 이내 재취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1982년에 시작해 정부와 산업계의 공동지원으로 전직지원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현재 시행 중인 기업은 약 300개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은 대부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정부지원 전직지원센터와 민간 센터의 시장 점유율을 50대 50이 되도록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앙정부는 연간 50억엔(약 579억원), 지방정부는 연간 5억엔(약 58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강진웅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