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별기고] 대한민국의 보안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 군인-정치..

     아이젠하워 사령관은 오버로드 작전(Opetation Overlord)이 고도로 위험한 모험이 될 것임을 인식했다. 아이젠하워가 런던에서 그 작전을 맡을 때 독일의 롬멜은 연합국의 침공을 해변에서 패배시켜야 한다고 믿었다. 만일 해변을 잃게 되면 연합국들이 프랑스 전투를 이기고 그것과..
  • [강성학 칼럼] 한국에 진정한 보수주의자가 존재하는가?

    대한민국에는 영국의 에드먼드 버크 같은 보수주의 철학자나 미국의 알렉산더 해밀턴과 같은 이론가는 없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과 박정희 대통령 같은 위대한 보수주의 실천가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에서 철저한 보수주의자로 자처하는 정치 지도자는 왜 없었을까? 그것은 대부분..
  • [강성학 칼럼] 21세기에 바라본 애국주의와 민족주의

     오늘날 애국주의(patriotism)와 민족주의(nationalism)는 '조국에 대한 사랑'의 의미로서 거의 동의어처럼 사용되고 있지만 그러나 그것들은 구별되어야 한다.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는 그 기원에 있어서 그리고 그것이 수행하는 정치적 기능에 있어서 자유의 아이디어와 밀접하게 관..
  • [강성학 칼럼] 정치인들의 역사적 유추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

    리더십의 공부는 마치 어린 학생들처럼 모방할 모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 갑자기 플루타크(Plutarch)의 <영웅전>을 뒤적이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는 우리 시대의 당면과제들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조망을 얻으려는 마음으로 역사에 접근해야 한다. 새로운 상황..
  • [특별기고] 아랍세계의 형태(Gestalt)는 어떻게 진화하였는가? (III)

    ◇이슬람 내 두 주요 종파인 수니파와 시아파의 형성    서기 632년 예언자 무함마드(Muhammad)가 죽었을 때 아랍 부족 원로위원회는 새 모슬렘 공동체에서 합의와 조화를 가장 잘 유지할 수 있는 인물로 무함마드의 장인인 아부 바크르(Abu Bakr)를 그의 후계자, 즉 캘리프(c..
  • [강성학 칼럼] 정치란 결국 무지개를 쫓듯 허망한 일일까?

     "정치란 결국 보람 없는(thankless) 일이다." 이것은 19세기 독일 철의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0tto von Bismarck)의 탄식이었다. 한국 정치의 풍운아라고 일컬어지는 김종필 전 국무총리도 정치란 허업(虛業)이라고 말함으로써 정치평가들에 의해 종종 인용되기도 했다...
  • [특별기고] 아랍세계의 형태(Gestalt)는 어떻게 진화하였는가? (II)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은 베스트팔렌 국제체제와 이슬람 체제로부터 모두 자기에게 유리한 명분을 끌어내며 독일편에 서서 참전했다. 오스만 관리들은 성전을 선언하고 이슬람을 괴멸할 목적으로 이슬람 세계에 대해 공격을 가했다고 러시아, 프랑스, 그리고 영국을 비난하면서 모든 국..
  • [강성학 칼럼] 권력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권력이란 마치 사랑처럼 제 눈에 안경이다. 권력이 모든 것이고, 모든 것은 권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럴까? 한국인들 중에는 권력을 향해 날아드는 "불나비들"이 너무 많다. 그렇다면 권력의 속성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역사가 헨리 애덤스(Henry Adams)는 "권력이란..
  • [특별기고] 아랍세계의 형태(Gestalt)는 어떻게 진화하였는가?(I)

     ◇예언자 무함마드와 이슬람의 시작  지금 "신(神)들의 전쟁"이 재개된 중동지역은 세계 위대한 종교들의 산실이었다.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모슬렘이라는 3개의 위대한 종교들이 모두 그곳에서 탄생했다. 본문의 주제인 아랍세계는 모슬렘의 영역이다. 서기 570년 메카(Mecca)에서 태..
  • [강성학 칼럼] 소위 제왕적 대통령(Imperial President)은 반민주적인가?

     "최악의 정부도 무정부보다는 낫다." 미국 헌법의 아버지 제임스 메디슨(James Madison)의 말이다. 이는 "만일 우리가 천사라면 정부가 필요 없을 것이지만 그러나 인간들에겐 언제나 정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렇게 말하는 인간도 좋은 정부에 의해서 통치를 잘 받고 싶어 한..
1 2 3 4 5

카드뉴스

lef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