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새누리, 朴대통령 담화에 “사실상 하야” vs. “퇴진 시기 불분명”

새누리, 朴대통령 담화에 “사실상 하야” vs. “퇴진 시기 불분명”

기사승인 2016. 11. 30. 04: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진석 "사실상 하야 선언…국회에 거취 백지위임"
유승민 "국민들이 진정성 있는 담화라 보기 어려워"
새누리 대국민담화 시청9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과 주요당직자들이 2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간담회를 갖고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담화를 지켜보고 있다. / 사진 = 이병화 기자photolbh@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담화문 발표에 새누리당 주류와 비주류의 시각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주류 측인 친박은 박 대통령이 사실상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탄핵이 아니라 개헌을 통한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해야 한다며 환영했고, 비박은 퇴진 시기를 못박지 않아 국민의 민심과 동떨어진 담화라고 비판했다.

이정현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 간담회 이후 “박 대통령이 모든 것을 국회에 다 맡겼다”며 “박 대통령이 시간 끌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은 국회에 맡겨 헌법과 법률의 범위 내에서 의견을 모아서 처리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담화 직후 “박 대통령의 오늘 담화는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백지위임한 것으로 사실상의 하야 선언이라고 생각한다”며 “박 대통령이 혼란과 국정공백이 장기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종적인 결심을 한 것으로 이해가 된다”고 말했다.

전날 박 대통령의 명예로운 퇴진을 앞장서 주장한 서청원 의원은 “야권과 폭넓게 의견을 모아 정권 이양의 질서를 만들어야 한다”며 “그것이 박 대통령에 대한 마지막 예우이며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가 끝난 후 “야당이 탄핵안을 발의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박 대통령이 물러나겠다고 하는데 그것은 예의가 아니지 않느냐”며 “(새누리당 의원들의 탄핵 추진도) 도리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친박 좌장격인 서 의원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친박계 의원들도 ‘탄핵 반대-개헌 추진’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진다.

반면 유승민 의원은 “박 대통령은 국회에 공을 넘기고 본인의 퇴진 일정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며 “국민이 진정성 있는 담화라고 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 일단 여야가 논의를 해보되 국회에서 합의가 안 되면 결국 가능한 헌법적 절차는 탄핵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친박에서 ‘개헌을 통한 임기 단축’을 주장하는 데 대해선 “탄핵 국면에 개헌 이야기를 섞어서 이야기하는 것은 상황을 꼬이게 만든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비박인 김성태 의원도 “박 대통령이 국회로 모든 문제를 처리해 달라고 돌린 것은 지혜로운 방법은 아니다”며 “구체적인 사태 수습을 위한 본인의 거취 문제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을 탈당한 김용태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대체 자신이 무슨 일을 저질렀는지 모르고 있다”며 “국회에 어물쩍 공을 넘겨 시간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나 본데 어림도 없는 소리”라고 일침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