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與 탄핵파 이탈표 비상…박지원 “탄핵 낙관하기 어려워져”

與 탄핵파 이탈표 비상…박지원 “탄핵 낙관하기 어려워져”

기사승인 2016. 11. 30. 04: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朴대통령 3차 담화에 중립지대 與 의원들 입장 선회 기류
비상시국위 "여야 조기퇴진 협상 안 되면 9일 탄핵 추진"
[포토] 의원총회 참석하는 김무성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 사진 = 이병화 기자@photolbh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의 영향으로 당초 40~60명까지 예상되던 새누리당 내 탄핵파의 찬성표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박 대통령의 담화로 친박과 비박의 중간지대로 분류되면서 탄핵에 찬성해온 10~20명의 의원들 중 일부가 탄핵 반대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이날 오후 국회에서 5시간 동안 진행된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는 탄핵 추진을 중단하자는 친박들의 설득이 이어졌다. 의총이 끝난 후 정진석 원내대표는 “탄핵은 박 대통령이 물러나지 않겠다는 것을 전제로 했던 것이고 이제 박 대통령이 스스로 내려오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탄핵에 대한 논의가 계속 유효하게 진행돼야 하는지, 아니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에 대해 야당과 대화를 해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탄핵이라는 카드를 버린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런 설득은 어느 정도 주효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새누리당 비박 몇 사람과 통화했는데 탄핵에 대해 낙관하기가 어려워졌다”며 이탈표 발생을 기정사실화 했다. 이에 따라 야권은 다음 달 2일 본회의에서 탄핵안 처리를 시도하려던 기존 방침을 수정해 다음 달 9일로 탄핵 시점을 연기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유승민 의원은 박 대통령의 담화 이후 탄핵 추진 움직임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는 해석에 대해 “동의하지 않고 아직까지 그런 움직임을 못 느꼈다”고 일축했다. 유 의원과 김무성 전 대표 등이 주축이 된 비상시국회의도 여야의 박 대통령의 조기 퇴진 협상이 무산될 경우 탄핵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비상시국회의의 대변인을 맡고 있는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야가 대통령의 조기 퇴진과 관련한 합의를 조속히 이룰 수 있도록 적극 협상에 임하라고 촉구한다”면서도 “그러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고 해서 탄핵이 미뤄지거나 거부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도 “일단 박 대통령이 한 말이니까 여야가 모여서 박 대통령의 사퇴 시한에 대해 한번 이야기를 해보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무작정 연기하거나 오래 논의하는 것은 맞지 않고 적어도 다음 주 중반 정도까지 논의해보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합의가 안 되면 예정대로 탄핵 일정을 추진하는 게 맞다”며 늦어도 다음 달 9일에는 탄핵 표결에 착수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비주류계는 비공개 의총에서도 탄핵 추진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 하태경 의원은 “오는 2일까지 당론으로 하야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키도록 하고, 그게 안 되면 탄핵하는 방향으로 가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성동 의원은 “탄핵은 해당(害黨)행위가 아니라 구당(救黨)행위”라며 “9급 공무원은 500만 원만 받아도 구속되는데 대통령에게는 더 철저한 도덕성이 요구되는 게 아니냐”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