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판매에 관여한 국내 증권사, 자산운용사의 수수료까지 합치면 92억원에 달했다.
이들은 자체 헤지를 통해 금리 상승, 하락에 무관하게 수수료 수익을 얻도록 설계해 설계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서 금융사들이 투자자 보호와 투자자 손실은 나 몰라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제윤경 국회의원<사진>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DLF 상품과 관련해 JP모건과 프랑스사 소시에테제네랄은 총 77억1700만원의 수수료 수익을 얻었다.
판매한 은행별로 살펴보면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국채금리 연계 DLF에 대한 수수료는 JP모건 17억499만원(수익률 3.02%), 소시에테제네랄은 22억 8600만원(수익률 3.83%)으로 집계됐다.
하나은행 영국미국 CMS 연계 DLF 수수료는 소시에테제네랄 36억8200만원으로 수익률은 2.36%였다.
국내 증권사의 경우 IBK 투자증권의 경우 2억8300만원, NH 투자증권이 3억5400만원, 하나금융투자가 3억3500만원을 수취했다.
이 상품을 은행에 판매한 10개의 자산운용사도 5억5121만원의 수익을 챙겼다.
이로써 은행에 가기 전 외국계 IB, 증권사, 자산운용사가 총 92억원의 수익을 챙긴 것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금융사는 어떠한 리스크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DLF상품은 외국계 IB가 국내 증권사에 상품을 제안하면서 만들어 졌다. 증권사는 은행과 수익률, 만기 등 상품구조를 협의해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역할을 했다. 이 과정에서 증권사는 손실에 대비해 외국계 IB와 헤지(위험회피) 계약을 체결했다.
외국계IB는 증권사의 손실 위험을 떠안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았고 외국계 IB도 해외 선물시장에서 이 상품에 대한 헤지거래를 했다.
따라서 사실상 이 상품 설계와 판매에 관여한 모든 금융사는 리스크를 헤지해 금리 상승, 하락에 무관하게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제윤경 의원은 “DLF 손익 구조는 금융지식이 제일 무지한 개인이 전적인 리스크를 지고 금융지식으로 무장하고 설계한 금융사는 모든 리스크를 헤지한 역설적인 상품이자 모든 리스크를 짊어진 개인이 이 손익 구조에 대한 설명과 이해도가 가장 낮았던 사기성이 짙은 상품”이라며 “개인에게 팔리는 원금손실상품에 대해 설계부터 판매과정까지 근본적인 제도개선책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