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무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현재까지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이 4가지 주력 선종에서 거둔 글로벌 수주 점유율은 평균 54.7%로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며 “170K급 이상 LNG선 글로벌 발주량 14척 중에서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은 합계 9척을 수주해 64%의 수주점유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300K급 이상 VL탱커의 글로벌 발주량 27척 중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은 합계 11척을 수주해 대우조선해양과 함께 수주 점유율을 40%씩 나눠가졌다”며 “158K급 수에즈막스급 탱커선 분야에서는 8척의 발주량 중 현대삼호중공업이 5척을 수주해 수주점유율은 62.5%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84K급 이상 LPG선(VLGC)는 전세계 발주량 39척 중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이 합계 20척을 수주해 수주점유율은 51.3%를 보였다”면서 “30K급 중형 LPG선의 경우 현대미포조선이 15척 전량 싹쓸이 수주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했다.
한국 조선업 수주 지배력 사실상 100%다. 박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수주실적까지 고려하면 위 4가지 선종에서 한국 조선소들의 수주점유율은 사실상 100%에 가깝다”면서 “170K급 이상 LNG선 14척의 발주량은 모두 한국 조선 3사가 수주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300K급 VL탱커선 역시 27척의 발주량에서 한국 조선소들의 합계 수주량은 26척”이라고 말했다.
158K급 수에즈막스급 탱커선 역시 8척 중 7척을 현대삼호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함께 수주했다. 84K급 이상 대형 LPG선 발주량 39척 중 한국의 수주점유율은 74%다. 사실상 한국의 주력 선종은 탱커와 가스선 분야에서 한국의 수주점유율은 70%에서 90%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한국 조선소의 전체 수주잔량에서 탱커선과 가스선박이 차지하는 비중은 척수 기준에서 70% 가량”이라면서 “이들 선박의 추진연료가 LNG와 LPG로 달라지면서 한국 조선소들로 수주량이 집중되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