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성남시, 전동휠체어 자율주행 위해 빅데이터 구축에 나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610010006316

글자크기

닫기

엄명수 기자

승인 : 2021. 06. 10. 12:13

성남, 휠체어자율주행
성남시는 길안내 서비스 알고리즘이 적용된 전동휠체어 자율주행 빅데이터를 올 연말까지 구축한다./제공=성남시
경기 성남시가 전통휠체어 자율주행 서비스 사업을 추진한다.

성남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지역특화 분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에 ‘장애인 길 안내 자율주행 휠체어 융합 센서 데이터’에 선정돼 19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시는 국비를 활용해 전동휠체어가 자율주행하는데 필요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을 올 연말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고정밀 센서가 장착된 전동휠체어 2대를 활용해 시범 구역으로 정한 성남시청, 야탑역, 차병원, 야탑천, 중앙공원 등 보도 네트워크의 노면, 적치물, 볼라드, 장애물, 시설정보 등을 수집한 뒤 라벨링 작업을 거쳐 융합 빅데이터로 정제·가공·생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생산된 빅데이터는 자율주행 전동휠체어 길 안내 서비스 알고리즘과 융합 센서에 적용되며 운행자가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자율주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협업 기관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과 위즈진㈜ 등 4개 기업이 보편적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장애인 실내·외 길 안내를 실증하게 된다.

시는 오는 2024년까지 전동휠체어 자율주행 길 안내를 시범 운영하면서 연차별 구역을 확대해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성남시 아시아실리콘밸리담당관 관계자는 “장애인 이동평등권 보장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라면서 “라벨링 작업·데이터 수집 인력 등 100여 명의 디지털 일자리 창출과 함께 장애인들에게 신개념 융합 서비스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엄명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