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공적자금 상환 위해 마이데이터 비용 아끼는 수협은행

[취재뒷담화]공적자금 상환 위해 마이데이터 비용 아끼는 수협은행

기사승인 2021. 06. 14. 19: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210216010009437_1613537915_1
이주형 경제부 기자
국민·신한 등 시중은행과 네이버파이낸셜·토스 등 빅테크 기업들이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협은행은 예비인가조차 신청하지 않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공적자금 상환’을 이유로 플랫폼 개발 등 초기 투자 비용을 아끼겠다는 의도인데요, 장기적으로 타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핀테크 업계와의 경쟁에서도 불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오는 8월 본격화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핀테크 업체와의 협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발에 적극적인 시중은행들의 행보와는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죠.

현재 핀테크 업계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민앤지·보맵·토스·뱅크샐러드·쿠콘 등 14개사가 본허가를 취득한 상태인데요, BNK금융그룹은 쿠콘을 마이데이터 협업 대상으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BNK금융은 지난해 1차 심사에 참여했다가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심사가 중단되면서 어쩔 수 없이 쿠콘과 협업을 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성세환 전 BNK금융 회장이 과거 주가조작 혐의로 징역형을 확정받으면서 심사 재개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수협은행은 대주주 적격성 문제와는 상관없지만 마이데이터와 관련한 전산 개발이나 전문 인력 확보에 들어갈 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과거 외환위기 당시 경영 위기를 겪으면서 공적자금 약 1조1500억원을 지원받았는데, 2028년까지 상환해야 할 공적자금이 8000억원가량 남았기 때문이죠.

게다가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실적이 악화됐습니다. 지난해 순익은 1820억원으로 2019년보다 17%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이에 따라 상환한 공적자금 규모도 1320억원에서 501억원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수협은행이 조금 더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을 세워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들어가는 초기 비용은 적게는 130억원에서 많게는 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마이데이터 시장이 은행의 새로운 성장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코 많은 액수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또 제휴 비용에 더해 커스터마이징(맞춤 서비스) 등을 요청할 때마다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점 등으로 미뤄 자체 플랫폼 구축의 장점이 더 크다고 보고 있죠.

특히나 은행의 경쟁자로 핀테크 기업들이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 경쟁력이 뒤처질 경우 수협은행의 기반도 흔들릴 수 있습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자체 시스템을 구축해놓지 않으면 결국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공적자금 상환’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디지털 경쟁력을 통한 미래 성장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면 수협은행은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