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운임 고공행진…깜짝실적 기대
코로나 풍랑속 '조원태 리더십' 빛나
"항공산업 재편 이후 추가성장 기대"
|
|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 2분기에만 1125억원의 영업흑자를 낼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2분기 1102억원보다 2%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이번에도 흑자를 기록한다면 지난해 2분기 이후 별도 기준으론 5개 분기 연속 흑자행진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9089억원으로 예측됐다. 이로써 올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액 3조7014억원, 영업이익은 2141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올 연간 기준으론 매출액 7조6226억원, 영업이익 3802억원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지기 직전인 2019년 연간 영업이익 1761억원보다 115.9% 성장한 수준이다.
해외 주요 항공사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사이 대한항공은 코로나19가 본격 확산된 작년부터 거의 매분기마다 영업흑자를 냈다. 코로나19 사태로 여객사업이 사실상 멈춰선 상황에서 보유 중이던 대형 화물기 가동률을 높이고 화물 전용 여객기와 좌석장탈 여객기 등을 동원해 항공화물 시장을 공략한 점이 주효했다. 올 들어서도 마찬가지다. 앞선 1분기 동안에도 해외 주요 항공사들이 일제히 1조원대 적자를 낸 것과는 대조적으로, 대한항공만 유일하게 1016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올 1분기 에어프랑스는 1조6400억원, 델타항공은 1조6300억원, 유나이티드항공은 1조7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올 들어선 항공화물 운임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대한항공은 올해 2분기에도 ‘깜짝 실적’을 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대한항공의 화물수송량은 올 1분기에만 24억4600만톤/㎞(1톤/㎞=각 항공편당 수송 톤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값의 단위)를 기록했다. 화물수송 영업수익은 1조3530억원에 달했다. 계절적 요인과 코로나19 사태 이전을 감안하더라도 2019년 1분기 기록했던 18억2100만톤/㎞, 6446억원에 비해 각각 34%, 110%씩 폭증한 수준이다. 이 같은 여세를 몰아 올해 두 자릿수 성장세가 예상된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여객기 화물사업 전환으로 올해에도 화물수송량은 두 자릿수 성장이 예상되며, 홍콩발 미주향 화물운임도 1분기보다 2분기 들어 40%나 높아진 상태”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잦아들며 여객사업이 재확대되더라도 즉시 전환 가능한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가운데 아시아나항공 인수 절차도 진행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 점도 추가 성장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대한항공은 국내 공정거래위원회를 포함해 미국·유럽연합(EU)·일본·중국·베트남·대만·태국 등 필수 신고 국가 9개국에 기업결합을 신고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터키와 태국, 대만 등에선 이미 통과된 상태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간 통합 작업이 기업결합심사 결과를 기다리며 늦어지고 있지만 방향성은 명확하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운임 인상폭에 따라 가파른 이익 개선과 함께 경쟁강도 완화 등이 기대되고 있어 2023년까지 실적 회복세에 진입할 것”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