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첨단기술 활용해 국민체감 바다안전망 구축

기사승인 2022. 03. 15. 08:4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봉훈 해양경찰청장
첨단기술을 활용해 더 안전하고 행복한 바다 만든다
정봉훈 해양경찰청장
정봉훈 해양경찰청장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해양경찰이 첨단기술을 활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바다안전망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우주항공, 무인체계,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을 활용해 해양경찰 임무 패러다임을 첨단기술 기반의 미래형 임무체계로 획기적으로 전환한다.

미래형 임무체계의 핵심자산은 인공위성이다. 우리나라 관할해역은 육지 면적의 4.5배(약 44만7000㎢)로 경비함정·항공기 등이 감시할 수 있는 해역은 16%(약 7만2000㎢)에 불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인공위성이다. 인공위성을 활용하면 함정, 항공기가 출동하지 않더라도 먼 바다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정확히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경찰도 다부처 사업으로 인공위성 개발에 나섰다. 2025년 관측위성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통신·수색·관측위성을 단계적으로 발사하고 2025년까지 위성정보 활용을 위한 ‘해양경찰위성센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인공위성은 궤도에 따라 전 세계 어디든지 볼 수 있다. 특히 NLL 접경수역과 독도·이어도·배타적 경제수역(EEZ) 등 주요 해역을 관측해 미확인선박이나 이동 중인 불법조업 외국어선의 경로를 탐지해 취약해역에 경비함정을 배치하는 등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고 대화퇴와 동중국해 등 원거리 조업 중인 우리어선의 안전관리에도 활용 가능하다. 앞으로는 경비함정이 현장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선박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돼 경비공백 우려 해소 등 해양경찰의 임무수행 전반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봇기술과 연계한 첨단기술 개발을 통해 체계적인 사고대응과 예방적 재난관리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선박사고 발생 시 조류, 수온, 선박형태 등 현장의 모든 정보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전략적 수색구조 활동을 지원하는 ‘수색구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수중수색로봇·무인항공기·드론 등 무인장비를 활용한 유·무인 복합 대응체계 구축,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연안안전 위험도 평가·예측시스템 개발 등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바다안전망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2026년까지 국가연구개발(R&D) 예산 1000억원을 목표로 R&D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며 과기정통부·행안부·소방청 등과의 다부처 협업사업을 통해 현장에 꼭 필요한 임무형 장비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끝으로 해양경찰은 바다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로서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바다라는 극한의 환경을 극복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현장상황을 예측해 즉시 대응할 계획이다. 인적기반의 대응체계에서 벗어나 첨단 과학기술을 융합·접목한 AI예측시스템 개발, 유·무인 복합대응 체계 구축 등 현장 대응역량 고도화에 힘쓸 것이다. 우리 1만3000여 해양경찰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바다안전망을 구축해 국민과 함께 더 안전하고 행복한 바다를 만들어 국민들로부터 사랑받고 신뢰받는 멋지고 당당한 해양경찰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