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화재사망자 절반 ‘60대 이상’…‘장비 부족’ 빌라 속수무책

화재사망자 절반 ‘60대 이상’…‘장비 부족’ 빌라 속수무책

기사승인 2023. 01. 30. 17:0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지난해 화재 4만여 건 발생…341명 사망
현장 소방장비·대피시설 등 부족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체계화 필요
AKR20181206182951064_02_i_P4
고령층이 화재에 특히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 2018년 12월6일 오후 9시 6분께 충북 청주시 상당구 15층짜리 아파트 14층에서 불이 난 모습. 이 사고로 80대 독거노인이 숨졌다./연합
지난해 발생한 4만여건의 화재로 인한 사망자 절반이 '60대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 화재안전 예방교육 강화와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 설치가 시급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온다.

30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화재 4만114건을 분석한 결과 총 341명의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6.9%로 대부분 고령층이었다. 70세 이상이 105명(30.8%)으로 가장 많았고, 60~69세 86명(25.2%), 50~59세 76명(22.3%) 순으로 드러났다.

앞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간 주택 화재로 인한 사망자 수는 1037명이었는데, 당시에도 60세 이상이 516명(49.8%)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던 것을 감안하면 더욱 악화된 수치다.

◇'고령층' 목숨 앗아가는 주택화재…소방 장비 부족한 빌라는 '속수무책'
basic_2022
이 같은 고령층 화재 사망이 대부분 주거지에서 발생했다는 점도 변한 게 없었다.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 해제로 야외활동이 늘면서 화재 건수는 전년 대비 10.6%(3847건) 크게 증가했고, 대부분 비거주시설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화재 사망은 대부분 '거주시설'에서 일어났다고 소방청은 밝혔다.

이에 대해 임명수 소방공무원노동조합 사무총장은 "현장에서 보면 노년층이 주로 사는 임대주택이나 빌라같은 곳은 대피시설과 소방 장비가 특히 부족하다"며 "천장에 다는 화재감지기나 필수적인 장비들에 대한 법적 의무가 있고 처벌조항도 있지만 사문화된 부분도 있고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종종 취약계층, 독거노인이나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을 선별해서 소방관들이 가가호호 방문해 소방장비들을 나눠주기도 한다"면서도 "지자체들이 고령층에 보급하는 센서가 없는 집들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음식물 태움으로 출동하는 사례가 많다"며 "감각이 무딘 경우, 간혹 주취상태에서 수면에 들었다가 화재가 나면 인지를 못 하는 경우도 있다"고 귀띔했다.

◇전문가 "실효성 있는 '화재안전 예방교육' 늘려야…고령층·자영업자 사각지대"

인세진 우송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요즘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화재 안전교육을 받고 있지만 현재 고령층은 화재 안전교육이 미비했던 세대"라며 "유독가스 흡입이 대부분 사망 원인임을 고려하면 화재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골에 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위해 모이게 하는 게 쉽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밖에 일각에선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각종 화재·재난 등이 노인·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 가혹하단 주장도 퍼져있지만 실제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지역별·계절별 화재 사고 증감율에 대한 종합적인 정부 실태조사와 분석이 없는 점도 지적된다.

이날 한 정부 관계자는 "산불에 미치는 기후영향 분석자료는 있지만, 화재 취약계층에 대한 종합적인 기후영향 보고서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며 "기관별로 산발적인 분석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