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에너지 안보 위기 속에 원자력 발전의 핵심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러시아가 고순도저농축 우라늄(HALEU)의 유일한 공급국인 만큼 전 세계가 이를 대체할 공급망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20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발표한 '글로벌 원자력 보급과제와 대응조치 고찰'에서 이같은 주장이 나왔다.
에너지는 우리 사회의 필수재로서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글로벌 총에너지 소비량은 2021년 대비 2030년까지 10%, 2050년까지 24% 증가할 전망이다. 전력수요도 2030년까지 24%, 2050년까지 77%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세계인구 증가 탓이 크다. UN(국제연합)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현재 약 80억명에서 2030년 85억명, 2050년 97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에너지 소비가 점차 커지는 가운데 기후위기에 따라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중이다.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변동성 문제를 보완할 원자력·ESS(에너지저장장치) 등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넷제로(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2050년까지 태양광 발전 용량이 20배, 풍력 발전 용량이 11배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원자력 발전량도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에너지 공급망 확보 문제가 급부상했다. 최근 러시아가 석유 등 수출을 금지하는 등 일부 국가가 지정학적 이유로 특정 국가와의 에너지 수·출입 중단을 결정하면서 글로벌 에너지 위기가 촉발했다.
이처럼 에너지 공급 불안과 고비용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본 등 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중단하던 국가들이 재가동하고 있다.스웨덴은 약 43년 만에 최소 10기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프랑스는 2035년까지 6기, 영국은 2050년까지 최대 8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다.
산업기술진흥원은 러·우 전쟁으로 각국의 에너지 공급망 의존도와 취약성이 재평가되고 있다며, 특히 북미·유럽 등 글로벌 핵 연료 전환·농축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해 온 러시아를 대체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해수 우라늄 추출, HALEU 연료, 시추공 등 처분기술과 관련한 R&D를 실시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산업기술진흥원 관계자는 "러시아가 다수의 첨단 원자로 설계에 필요한 HALEU의 유일한 공급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HALEU 공급망 구축은 미국 등 여러 정부가 집중해야 할 영역"이라며 "시추공 처분 기술은 일부 지역에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 국제 R&D 협력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원전에 대한 수용성 확대 등에 노력해야 하며 인재 확보도 필수라는 의견이다.
산업기술진흥원 측은 "원자력 공학 박사 과정 프로그램 등 관련 분야 학생 교육 지원에 나서야 한다"며 "미국원자력학회와 교육부가 협력 개발한 커리큘럼 프로그램은 타국의 원자력 관련 교육 확대 시 활용할 수 있는 일종의 템플릿으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