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도민과의 대화 원천봉쇄 예고
|
범대위는 지난 11월 28일 도청앞에서 성명서를 통해 "함평도민과의 대화를 보면서 마치 광주시의 숙원사업을 국책사업인 양 홍보하고, 국가계획 어디에도 없는 광주 군 공항이 무안으로 이전되는 것이 국가계획에 있는 것처럼 말한다"고 김영록도지사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또 "광주 군 공항 이전은 지역발전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하면서도 무안군으로 이전하라고 일방적으로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고 전남도의 이중적인 행보를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전남도와 무안군에 "도민과의 대화 자체도 용납할 수 없다"며 "향후 일방적으로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을 추진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불미스러운 일은 오롯이 김영록도지사의 책임이다"고 김영록도지사와의 만남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전남도는 "광주 군 공항 이전과 국내선 이전은 별개다"고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다가 함평군에서 군 공항 유치조건으로 광주시 편입 여론이 조성되자 김영록도지사는 지난 3월 27일 갑자기 인터뷰를 통해 "광주 군 공항과 무안공항과 통합 연계해야 한다"고 정책기조를 바꿨다.
이에 무안군의회와 범대위에서는 3월 28일 '김영록 도지사 규탄 삭발식과 성명서'를 발표하고 도청앞에서 광주 군 공항 무안이전을 반대하는 천막시위 등을 이어 왔었다.
범대위 관계자는 "무안군민들이 생계와 무더위에도 도청앞에서 191일 시위를 이어갔는데도 한마디 사과나 유감 표명 없이 대화하자고 하는 것은 무안군민을 개·돼지 취급한 것 밖에 되지 않는다"고 김영록도지사를 향해 울분을 감추지 못했다.
더불어 "함평도민과의 대화는 대화의 장이 아닌 김영록도지사가 일방적으로 함평군민을 설득하는 장이었다며, 그런 무의미한 대화는 무안에서 할 필요가 없다며 도민과의 대화를 원천봉쇄 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에서는 광주시에서 제안한 군공항 민간공항 분리 이전 조차도 일축하며 여전히 민간·군 공항 통합 무안 이전만을 주장하고 있어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에 대한 진정성이 있는지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으며, 17일 강기정시장과 김영록도지사의 만남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