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학생건강검진,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받는다

학생건강검진,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받는다

기사승인 2024. 05. 26. 12: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검진항목에 교육·상담 추가,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 입력해 확인
하반기, 세종 및 강원 원주시 관내 학생 대상으로 시범사업 실시
진료 대기하는 환자
진료 대기하는 환자/연합
앞으로는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24일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 추진단' 회의를 개최하고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계획을 논의했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학생건강검진은 초1·4, 중1, 고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데, 일부 학교는 검진기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있다. 또 학생과 학부모는 검진기관이 멀어 불편을 호소해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영유아검진 및 일반검진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고 있지만 학생건강검진 결과는 학교장이 출력물로 관리하고 있어 검진 결과의 생애주기별 연계·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앞으로는 학교장이 지정한 검진기관에서만 가능했던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국가건강검진 지정기관)에서 언제든지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

검진 항목에 신체 발달상황 외에도 교육·상담 항목을 추가해 검진 시 의사가 비만 및 약물 오·남용 예방 등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한다. 또한,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개인별 검진 결과 통보서에 기재해 각 가정에서 자녀지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검진 결과는 학생·학부모에게 출력물로 제공하고,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다. 추가 검사 또는 사후관리가 필요한 학생 정보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NEIS)과 연계하여 학교에서 사후관리에 활용하도록 한다.

올해 하반기 중 세종 및 강원 원주 관내 학교(196교, 약 3만5000명)를 대상으로 학생건강검진 개선 방안을 시범 운영하고,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모든 학교로의 전면 확대 시기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해숙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관은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통해 그동안 학교 현장과 학부모님들이 겪었던 많은 문제들이 해소되길 기대한다"며 "관계기관 및 시도교육청과 적극 협력해 시범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경택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시범사업을 통해 앞으로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공백 없이 건강검진 기록을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전 국민의 생애주기별 건강 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