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번 돈보다 쓴 돈이 많다…중산층 5집 중 1집 ‘적자 살림’

번 돈보다 쓴 돈이 많다…중산층 5집 중 1집 ‘적자 살림’

기사승인 2024. 05. 26. 13: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소득 상위 20~40% 적자 가구 비율 18.2%…전년비 2.2%p↑
근로소득 줄었는데 지출·이자비용 증가…근로자 비중 큰 가구 타격
소비자물가2 연합사진
사진=연합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는 40대 A씨는 요즘 저축은 '언감생심'이라고 토로했다. 월급은 쥐꼬리만큼 오르는데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는 갈수록 더 들어가고 지속되는 고금리 영향에 대출 이자 부담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A씨의 사례처럼 고물가·고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적자 살림'을 하는 중산층 가구가 5집 중 1집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26.8%로 전년(26.7%) 대비 0.1%포인트(p)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을 의미한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에 해당하는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8.2%로 2.2%p 증가했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3분위(소득 상위 40∼60%)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7.1%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는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썼다는 의미다.

이 밖에도 2분위(소득 상위 60~80%) 가구는 1년 전보다 적자 가구 비율이 0.9%p 증가한 28.9%를 기록했고,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도 9.4%로 0.5%p 늘었다.

다만 1분위(소득 하위 20%)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한 60.3%로 전년보다 개선됐다.

이처럼 중산층 가구의 적자 살림 배경에는 높은 금리와 고물가의 장기화에 더해 부진한 소득 증가가 원인으로 꼽힌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반면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며 오히려 감소했다.

특히 통계청은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