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수원시민 46.2% “태어나지 않았어도 고향이라 생각해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14010006845

글자크기

닫기

수원 홍화표 기자

승인 : 2025. 01. 14. 14:49

공공기관을 이웃보다 더 신뢰
포
경기 수원시민 절반 가까이가 수원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고향같은 도시로 인식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을 이웃보다 더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이 같은 결과는 수원시정연구원이 시민패널 330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18일부터 5일간 온라인 조사를 실시해 1703명이 응답한 '수원시민 정주의식 및 사회적 신뢰, 포용성 조사'에서 나타났다.

'수원은 어떤 의미를 주는 도시인가'라는 정주의식을 묻는 질문에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고향이나 다름없는 도시'라는 응답이 46.2%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마음을 붙이고 살만한 도시' 35.7%, '태어나서 자란 도시' 13.4%, '기회가 있으면 떠나고 싶은 도시' 2.5%, '잠시 머무르는 도시' 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는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고향이나 다름없는 도시'라는 응답은 남성(48.1%), 60대 이상(55.1%), 50대(53.4%), 지역별로는 팔달구(55.1%), 영통구(44.7%)에서 높았다.

수원시민은 공공기관을 이웃보다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또는 기관을 얼마나 신뢰하는가'에 대한 조사 결과 수원시민의 사회적 신뢰도는 가족이 10점 만점에 8.76점으로 가장 높았다. 친구(8.01점), 시청, 구청 등 공공기관(7.06점), 이웃(6.66점), 수원거주외국인(5.69점), 처음만난사람(5.47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민 4명중 3명 정도는 외국인 노동자나 이주민 등을 이웃이나 친구로 수용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수용도를 나타내는 조사에서 이웃이나 나 또는 자녀의 친구로 지내는 것에 대해 다문화 학생(82.2%), 장애인(82.0%), 외국인 이주민(76.4%), 새터민(72.6%), 외국인 노동자(71.7%) 등의 순으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 또는 자녀의 결혼 상대로는 다문화 학생(63.9%), 외국인 이주민(54.7%), 새터민(47.2%), 외국인 노동자(44.5%)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성진 수원시정연구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수원시민들의 높은 정주의식과 사회적 신뢰, 다양성 수용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신뢰와 다양성, 포용력을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모니터링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홍화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