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자 익산시의원이 6일 '제268회 제1차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익산시의 자살률은 2022년 19.9명에서 이듬해에 31.0명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인근 전주와 군산지역은 감소 추세에 있다"고 집행부를 질타했다.
송영자의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익산시의 자살률은 전북 14개 시·군 평균(20.9명)은 물론이고 익산시와 주요 3대 도시를 형성해온 전주(17.1명)와 군산(23.4명) 등에 비해서도 훨씬 높고, 자살 사망자률 역시 2022년 74명에서 이듬해에 93명으로 한해에 19명이나 늘어났다.
그러나 이 같은 자살률 증가추세에도 익산시보건소는 그간 자살예방 정신건강증진사업과 심리유치원, 인권존중 힐링프로그램 등 대부분 정신건강 치료에 집중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
익산시는 정부의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에 맞춰 자살 증가세를 꺾지 못한 자살 시도자와 자살 사망자의 유족 등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벌여 왔던 셈이다.
이에 송영자 의원은 "익산시의 자살 예방의 모든 정책이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지원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자살률을 심각한 지역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건소 전담이 아니라 익산시장이 주재하는 '자살 예방 전략회의'를 권고한다"며 "시 차원의 실효성 있는 자살 예방 사업을 통해 사회적 타살이 멈춰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