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스물한 번째 만나는 안산국제거리극축제…내달 3~5일 개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8010004643

글자크기

닫기

안산 엄명수 기자

승인 : 2025. 04. 08. 15:56

안산시, 축제 라인업 공개…136개 공연·프로그램 기대
'거리에서 만난 예술, 세상을 잇다'슬로건으로 개최
사진2. 동춘서커스 버라이어티 서커스 쇼 ⓒ서울문화재단
경기 안산시가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사흘 동안 제21회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개최한다. 사진은 지난해 국제거리극축제 당시 부대행사로 열렸던 동춘서커스 공연 모습. /서울문화재단
경기 안산시의 거리축제이자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자리잡은 '안산국제거리극축제'가 관객들과의 스물한 번째 만남을 준비하고 있다.

안산시는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사흘 동안 제21회 안산국제거리축제가 '거리에서 만난 예술, 세상을 잇다'라는 슬로건으로, 안산문화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도심 속 거리를 무대 삼아 펼쳐진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이번 축제는 예술과 일상이 연결되는 축제를 목표로, △어린이와 청소년, 대학생, 다문화 시민 등 전 계층이 어우러진 축제 △지역사회와 함께 고민해 추진하는 축제 △경계를 허물고 모두가 함께하는 축제로 5월의 시작을 풍성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안산시는 8일 '제21회 안산국제거리축제' 라인업을 공개했다.

우선 개막식이 열리는 3일에는 서울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학생들로 이뤄진 중창팀의 '모두 함께 한 걸음'이 희망찬 목소리로 하나 된 '안산'의 열정을 노래한다.

국내 최초로 예술무대를 기반으로 불을 이용해 춤을 추는 장르를 연구 및 개발한 '예화_플레이밍 파이어'는 불꽃과 함께 무용작품 '열정의 조각'을 관람객 앞에 선보인다.

이날 개막의 마지막 무대는 대한민국 대표 스트릿댄스 크루인 '갬블러크루'와 대표 여성 락킹팀 '롤링핸즈'가 맡는다.

마지막 날인 5일 저녁 무대는 대한민국 대표 일루셔니스트 이은결의 '일루션 퍼포먼스'가 40분간 이어진다.

이번 안산국제거리극축제는 엄선된 공식 참가작 총 27편이 관람객들을 맞을 준비에 한창이다.

100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 대표서커스단이자 대부도 상설공연장에서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동춘서커스는 공연을 통해 서민의 삶과 애환, 고통, 기쁨을 어루만진다.

또 현대적인 서커스를 펼치는 코드세시는 '특별_나만의 별' 프로그램에서 독특한 구조물을 사용한 공연으로 수많은 관중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관람객의 공감대를 형성할 거리극들도 준비에 한창이다. △극단민들레의 창작연희극 '똥벼락' △루모스 씨어터의 '찰칵, 찰칵' △유상통프로젝트의 '별주부전에 끼어든 인어공주' △이명찬의 '리싸이클맨' 등이 안산문화광장 곳곳에서 열린다.

특히, 올해는 모든 관람객이 조금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관람할 수 있는 도구 사용 공연 프로그램들이 펼쳐진다.

축구공과 농구공을 사용한 라이캣크루의 '캔트스탑 킥앤점프', 드론을 이용한 현대무용 공연 멜랑콜리댄스컴퍼니의 '브레이크 더 보더', 대형인형과 함께하는 한국인형극협동조합의 '달달한 달', 거대한 로봇팔을 이용한 서커스인 포스의 '교감'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전통연희공연인 리퀴드사운드의 '긴:연희해체 프로젝트Ⅰ', 백솽팩토리의 마임인형극 '컴 온 베이비', 변검술로 무장한 중국무용희극예술단의 '중국의 멋' 등도 무대를 구성한다.

이번 축제는 축제가 가진 장소성과 공간성을 확장해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어린이 공간'과 '청소년 공간'을 조성하는 점이 특징이다.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도시 놀이터로 꾸며진다. 어린이 입장을 금지하는 'NO 키즈존'이 아닌 'YES 키즈존'이라는 이름으로 어린이와 가족들을 맞이한다.

특히,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이해 어린이와 가족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청소년 공간'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표현하고, 서로의 다양성을 포용하며 자발적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또, 시민이 예술가가 돼 다양한 공연 퍼포먼스를 펼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시민버전'과 난타·색소폰 등의 무대가 가득한 '상권 활성화 프로그램', 버스킹 애호가들을 위한 '뮤직스트리트'와 소통형 아트플리마켓 '청년예술마켓'까지 시민과 예술인이 함께 연대하고 즐길 프로그램들이 계획돼 있다.


엄명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