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 지도자, 공헌자 등 3개 부문 선정
지도자 부문엔 '김호' 전 감독 헌액돼
선수 부문, 유상철·김주성·김병지·데얀
|
정 명예회장은 16일 서울 종로구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열린 '제2회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 공헌자 부문에서 헌액자로 뽑혔다. 2023년 신설된 'K리그 명예의 전당'은 한국 프로축구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의 업적을 기리고 K리그의 역사에 남기기 위해 헌액자를 선정한다. 선수(STARS), 지도자(LEADERS), 공헌자(HONORS) 등 3 개 부문으로 2년마다 헌액자를 뽑는다.
선정위원회 투표(40%), 구단 대표자 투표(20%), 미디어 투표(20%), 팬 투표(20%)의 점수를 합산해 결정된다.
정 명예회장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창설된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연맹의 1~2대 회장을 역임했다. 재임 시절엔 K리그 타이틀 스폰서 제도 도입을 이끌었다. 전북·전남·수원·대전 구단 창단으로 10개 구단 체제로의 확대하고, 지역연고제 정착 등을 도입했다.
정 명예회장은 1993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축구협회장을 지냈다. 특히 2002 한일월드컵 유치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국제축구연맹(FIFA) 부회장 및 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정 명예회장은 2002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당시를 회상하며 "우리나라는 당시 월드컵 본선을 5번 정도 나갔었고, 일본은 한 번도 못 나간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국제 위상과 경제력으로 앞서 있다고 해서 월드컵을 일본에서 하겠다고 하면, 학교에서 학생을 뽑을 때 공부 잘하는 아이를 안 뽑고, 집안 좋고 돈 있는 아이를 뽑는 거랑 똑같다고 주장하며 공동 개최를 이뤄냈다"고 했다.
특히 "결국 월드컵 4강까지 가는 큰 기쁨도 있었다"며 "내년엔 북중미 월드컵이 있는데,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 축구 팬이 다 같이 힘을 모아 좋은 경기를 펼치고 국민에게 큰 기쁨을 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지도자 부문 헌액자엔 김호 전 감독이 선정됐다. 김호 감독은 울산, 수원, 대전 등에서 지휘봉을 잡고 K리그 통산(리그컵 포함) 208승 154무 181패를 기록했다. 선수 부문 헌액자로는 고 유상철, 김주성, 김병지, 데얀이 선정됐다.
선수·지도자·공헌자 부문 헌액자는 K리그에서의 업적이 쓰여진 헌액증서와 헌액 기념품, 트로피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