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부담 250만원으로 줄인다…2주 표준요금 390만원, 시가 140만원 지원
취약계층 50~100% 감면
|
시는 9일 내년 민간 산후조리원 5곳을 공모해 상반기 중 시범 운영한 뒤 2027년부터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후조리원의 2주 표준요금 390만원 중 산모가 250만원, 시가 140만원을 부담한다. 다자녀 가구와 한부모 가정은 50%, 저소득층은 100% 감면된다. 올해 6월 기준 시내 민간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료는 491만원, 중위 요금은 390만원으로 최저 280만원에서 최고 4020만원까지 편차가 크다.
시 관계자는 "신규 건립에 100억원 이상, 최소 3~4년이 소요되고 운영에 재정 부담이 큰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공공성과 민간의 전문성을 결합한 합리적 상생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취약계층과 다자녀 산모에게는 우선 입소권이 제공된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한 전체 산모의 85.1%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했으나 가구소득 60% 미만 가정의 산모는 38.6%만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취약계층 지원으로 조리원 이용 격차를 줄이고, 다자녀 우선권을 통해 출산율 제고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참여 시설별로 감염 및 안전관리 기준에 맞춰 기존 시설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곳당 최대 5000만원의 시설개선비를 지원한다. 입소 전 출산준비 교육(2회 이상)부터 입소 후 모자동실 운영, 모유 수유 지원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유방·전신 관리 및 산후운동 등 포함된다. 신생아 목욕·수유·안전교육 등과 보건소 모자보건사업과 연계한 건강관리 서비스도 지원한다. 현재 서울 시내 산후조리원 산모실은 총 1964실로 출생아 수 대비 과잉 상태다. 이에 시는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도 효율적인 협력형 대안으로 이 사업 모델을 설계했다.
정소진 시 건강관리과장은 "안정적인 시범 사업 운영으로 '산후조리'가 행복한 육아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