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증권사추천종목-5월13일] 에스원·삼성중공업·삼성전기외 11

[증권사추천종목-5월13일] 에스원·삼성중공업·삼성전기외 11

기사승인 2009. 05. 13. 00:4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 한화증권

<대형주>

▲한국가스공사-상반기 중 가스요금 인상이 실행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동사 기업의 가치가 큰 폭 개선 기대. 최근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원/달러 환율 하락과 유가 상승 역시 동사의 주가에 긍정적. 이러한 거시 변수는 동사의 외화부채 부담 감소와 E&P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에스원-안정적인 수익창출 능력과 높은 시장점유율로 2분기에도 지속적인 영업이익 창출 가능. 안정적인 실적 예상과 상대적인 저평가 및 환율 하락시 영향을 받지 않는 업종으로 투자 매력 부각

▲삼성중공업(신규)-하반기 대규모 해양관련 프로젝트로 상선부문 수주 감소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 후판가격 하향 안정화의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

▲POSCO-5월내로 철광석 업체들과의 2009년 계약가격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예상. 전년대비 30% 수준의 인하가 기대되며 이정도 인하시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 철강가격 지지 가능.1분기를 저점으로 영업이익 개선 기대. 2분기 영업이익은 88.5%
수준의 큰 폭 증가가 예상되며 최근의 환율 하락 추세는 동사의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현대해상- 2위권 보험사 대비 낮은 지급여력비율로 자본 확충 우려가 있었으나 자산재평가 실시 이후 지급여력비율이 190%대 수준으로 상승.장기보험 신계약 매출증가율이 업계 최상의 수준

▲KB금융-1분기 영업이익이 4,20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45% 증가. 최근 경기관련 지표들이 바닥을 다진다는 측면에서 동사의 실적 역시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기업 구조조정 이슈와 관련하여 부실비용에 대한 부담이 시중은행 중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점이 부각될 것으로 기대

▲LG- LG전자, LG화학, LG텔레콤 등 핵심 자회사들이 잇따라 긍정적인 실적과 향후 전망을 발표함에 따라 지주사인 동사의 가치 역시 부각될 것으로 기대. 안정적 배당과 우량한 재무비율에도 불구하고 높은 할인율을 적용받고 있는 동사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

▲강원랜드-그동안 진행되었던 구조조정과 비용절감의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 새로운 CEO에 대한 기대감 역시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판단. PBR배수가 2배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뚜렷한 실적 개선 기대감을 고려할 때 밸류에이션 부담 역시 미미할 것으로 판단

▲동국제강-원재료 가격의 하락과 하향 안정되는 환율 추세로 2분기 큰 폭의 실적 개선 기대. 국제철강 시황 역시 2분기말 이후 저점이 예상된다는 측면에서 동사의 기업가치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

▲CJ제일제당-환율이 추가로 하락한다면 실적개선 기대감이 주가에 점차 반영될
것으로 기대. 각 부문 점유율 1위로 안정적인 영업력 개선 기대.

▲삼성전기-1분기 영업적자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예상치 보다 양호한 성과 기록. 주력사업인 노트북, 스마트폰용 부품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할 때 2분기 본격적인 실적 개선 기대. 신규 성장 동력인 LED사업에서 2분기 영업 이익 기여도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 동사는
LED 칩 기준 국내 최대 생산능력 보유 업체

<중소형주>

▲슈프리마-공공부문의 '지문인식'도입 확대로 상승 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0억원과 28억원에 이를 전망. 2분기에는 공공부문 매출의 본격적인 반영으로 큰 폭의 실적 호전 기대. 미국 FBI(연방수사국) 추가 인증 등에 따른 글로벌 인지도 상승으로 인해 해외 수출도 지속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기대.

▲LG패션-1분기를 저점으로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 부각될 것으로 예상. 경쟁업체들과 달리 의류업계의 불황기에도 공격적으로 성장전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향후 경기 회복시 이익 개선 효과도 클 것으로 판단. 1250억 수준의 풍부한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09년 예상 PER가 8미만으로 예상되어 저평가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

▲다음-상반기 광고시장 업황 악화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지만 트래픽 증가추세는 유지하고 있어 성수기인 2분기부터 실적 개선 예상. 온라인광고 2위 사업자로서 유무선 융합 가속
화에 따른 포털의 전략적 가치 부각될 전망.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