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총기사냥·포획틀 설치…ASF 확산 막는다

총기사냥·포획틀 설치…ASF 확산 막는다

기사승인 2021. 01. 14. 17:4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941건
개체 수 줄이고 농장단위 방역 강화
정부가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맞춤형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대책을 수립, 추진한다. 야생멧돼지를 중심으로 ASF가 지속 발생하고 있어 현재 매우 엄중한 상황 판단에 따른 조치다.

14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따르면 현재까지 화천·연천 등 12개 시군에서 야생멧돼지 ASF 총 941건이 발생했다.

문제는 최근 기존 광역울타리에서 62km 떨어진 강원도 영월에서도 야생멧돼지 ASF 8건이 발생하는 등 발생지역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행스러운 점은 사육돼지의 경우 2019년 9월 16일부터 23일간 14건, 2020년 10월 2건 발생 이후 추가 발생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광역울타리 이남 영월·양양에서 야생멧돼지 ASF가 발생하고 있어 전국적 ASF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정부가 야생멧돼지 확산 방지와 양돈농장 차단방역을 위한 선제적 방역 강화 조치 카드를 꺼내든 것도 이 때문이다.

우선 전국은 기존발생지역, 핵심대책지역, 신규발생지역, 사전예방지역 4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차별화된 야생멧돼지 관리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존발생지역 9개 시군 228개 리에 제한적 총기포획을 허용하고, 민통선 이북지역에 포획틀 330개 설치 및 민·관·군 합동 포획 추진이 대표적이다.

특히 영월·양양 신규발생지역의 경우 발생지점을 중심으로 1·2차 울타리를 설치하고, 영월지역 멧돼지 이동 차단을 위해 고속도로를 치대한 활용한 차단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야생멧돼지 ASF 발생지역과 인근 도로·농장 진입로에 대해 방역차·광역방제기·군제독차 등 소독차량 196대를 동원해 오염원 제거 소독을 실시할 방침이다.

정부는 차량·사람·매개체를 통한 오염원이 사육돼지 양돈농장으로 유입을 막기 위해 선제적 농장단위 차단방역을 강화했다.

이와 관련 영월, 강릉, 삼척, 원주, 정선, 태백, 평창, 횡성, 단양, 제천, 봉화, 영주 등 12개 시군에 대해서는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축산차량의 농장 진입 차단을 위해 2월말까지 농장시설을 보완하고, 6월말까지 중점방역관리지구에 적용되는 8대 방역시설을 설치하도록 했다.

방역에 취약한 어미돼지 사육시설(모돈사)에 대해 내부 공사를 금지하고, 모돈과 비육돈의 계류장소 구분, 도축일자·시간 조정 등 모돈 도축장의 교차오염 최소화에도 나선다.

또한 축산차량의 농장 진입 차단을 위한 농장시설 개선을 위험지역부터 단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는 ASF의 선제적 확산방치를 위해 권역을 설정해 권역간 돼지와 분뇨의 이동도 제한했다.

영월 발생지점 중심 3개 시도를 권역화했으며, ASF 확산 상황 추이를 보며 전국을 16개 구역으로 권역화해 지역간 전파 차단에도 나설 방침이다.

특정지역에서 멧돼지 ASF 집중 발생 시 해당 지역을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권역 내 지정차량은 권역 밖 이동도 금지하기로 했다. 권역 밖 사료차량 등 경우 환적장을 설치·이용하도록 했으며, 권역 내 진입을 차단했다.

김현수 중수본부장은 “야생멧돼지 ASF 확산으로 양돈농장에 오염원 유입이 우려되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울타리 설치, 관리, 멧돼지 포획, 폐사체 수색‧제거 및 오염원 지역 소독 등 방역조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