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정수봉 부장검사)는 4일 박 경정을 상대로 해당 문건을 어떻게, 누구의 지시를 받아서 작성했는지 등을 집중 조사했다.
검찰은 또 문건 작성 과정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 지휘라인이나 또 다른 청와대 윗선의 개입은 없었는지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경정이 작성한 문건에는 정씨가 지난해 10월부터 청와대 핵심 비서관 3인방을 비롯한 청와대 내외인사 10명과 정기적 모임을 갖고, 청와대 내부 동향을 보고받는 등 국정에 개입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현재까지 박 경정의 문건 작성에 관여하거나 보고라인에 있던 것으로 알려진 윗선으로는 박 경정의 직속상관이었던 조응천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과 홍경식 전 민정수석뿐이다.
검찰은 이날 조 전 비서관에게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이에 조 전 비서관은 이르면 5일 출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이 박 경정에게 공무원 신분도 아닌 정씨의 동향을 왜 조사하도록 지시했는지는 아직까지 의문이다.
조 전 비서관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기춘 비서실장이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사표를 낸다는 얘기가 시중에 돌고 보도도 나와 우리 방에 알아보라고 지시했다”며 “박 경정이 비교적 명확한 얘기를 보고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비서실장이나 홍 전 수석이 시킨 것인지는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정씨는 “어떻게 이렇게 유치한 짓을 최고의 기관인 민정(수석실)에서 할 수 있느냐”며 최종 윗선이 따로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조 전 비서관에 대한 소환조사를 통해 박 경정에게 문건 작성을 지시한 최종 윗선이 누구인지 밝혀낼 전망이다.
한편 검찰은 홍 전 수석에 대한 소환조사 여부와 관련해 “홍 전 수석에겐 통보하지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