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새누리, 공천 희비 속에 ‘컷오프 반발’ ‘진박 검찰 고발’ 등 진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313010007646

글자크기

닫기

손지은 기자

승인 : 2016. 03. 13. 17:31

4·13 총선 D-30…현역 컷오프 강길부·박대동 반발
무소속 출마 염두에 둔 경선 포기자 속출
'진박 마케팅' 둘러싼 후보들 간 법적 분쟁도
[포토] '욕설 막말' 윤상현 제명 촉구하는 김무성 대표 지지자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지지하는 부산 영도구 당원 100여 명이 10일 부산에서 상경해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 앞에서 ‘욕설 막말’ 파문을 일으킨 윤상현 의원의 퇴출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 사진 = 이병화 기자 @photolbh
새누리당의 4·13 총선 공천 명단이 속속 확정되면서 희비가 엇갈린 후보들간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경선에서 배제된 후보들은 컷오프 기준에 강력 반발하고, 경선에 참여하게 된 후보들 사이에서도 과열 경쟁으로 분란이 계속되고 있다.

경선에서 배제된 현역 의원들은 탈당과 무소속 출마 강행 의사를 밝히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현역 컷오프 1호인 김태환 의원(경북 구미을)은 이미 탈당 절차를 마무리하고 무소속 후보로 선거를 준비중이다. 지난 12일 4차 공천 발표에서 낙천한 현역 강길부(울산 울주)·박대동(울산 북구) 의원도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이한구)의 결정을 수긍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박 의원은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재심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탈당하겠다고 경고했다. 강 의원도 “이번 공천은 국민공천이 아니라 ‘계파 사천(私薦)’”이라며 “지지율이 가장 높은 현역 의원은 배제하게 ‘친박(친박근혜)’ 후보 2명만 경선을 시켰다”고 주장했다.

‘진박(眞朴·진실한 친박) 마케팅’을 둘러싼 후보들 간의 신경전이 검찰 고발까지 이어진 지역도 등장했다. 경북 포항 북구에서는 박승호 전 포항시장을 비롯한 예비후보 3명이 ‘진박 논란’ 끝에 경쟁자인 김정재 예비후보를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들은 “김 후보가 ‘중앙의 언질’을 운운하며 이를 특정 언론에 유포한 행위는 여권의 ‘친박’ 실세에게 여성 우선 공천을 약속받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반면 김정재 예비후보는 “논란거리를 만들어 흠집을 내려는 네거티브로 대응할 가치를 못 느낀다”고 일축했다.

경기 포천·가평에서는 이철휘 예비후보 측이 이달 초 SNS에 올린 글을 두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 예비후보의 선대본부장인 김종천 전 포천시의회 의장은 이 예비후보가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찍은 사진과 함께 올린 글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최고의 신뢰를 받고 있는 김 실장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며 “(김 실장과의 관계가) 이번 총선 출마를 결심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같은 지역구의 현역 의원인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 글이 사실이라면 청와대의 핵심 인물이자 국방안보의 책임자가 20대 총선에 직접 개입해 후보까지 낙점했다는 것이고, 아니라면 허위사실 유포가 된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 지역에서는 ‘경선 참여 거부’ ‘돈봉투 살포 의혹’ 등으로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당은 13일 해운대을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했던 김미애 변호사가 경선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변호사는 이 지역의 현역의원인 배덕광 의원, 이창진 예비후보와 함께 경선 명단에 포함돼있었다. 수영구에서도 김정희 예비후보가 경선을 포기했다. 여론조사 형식의 경선 방식으로는 현역 의원에게 승산이 없다고 판단해 무소속 출마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부산진을에서는 한 예비후보의 핵심운동원이 지역유권자에게 금품 및 식사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지역 정가가 요동치고 있다. 이 지역 예비후보인 이수원 전 국회의장 비서실장은 “선거관리위원회와 경찰을 비롯한 수사당국은 엄정한 수사를 통해 사건의 전말을 신속하게 밝혀야 한다”며 “새누리당의 공관위는 수사가 완료될 때까지 경선일정을 연기 조정하고 범죄 사실이 확인될 경우 경선 참여배제를 포함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지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