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국정 정상화’ 강한 의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1118010012359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6. 11. 18. 10:07

박 대통령, 국정 정상 복귀 수순...새 대사 신임장, 임명장 수여...한광옥 비서실장 등 정무직 임명장...일본 개최,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 유력...실질적 사태 수습책 내놓지 못한 '야권 사실상 정국 부담'
'초선 모임'에 김무성-정진석 참석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왼쪽 세번째)와 정진석 원내대표(두번째)가 18일 오전 국회 정책위회의실에서 열린 초선의원 모임에 참석하고 있다. 박완수 간사(맨 맨 왼쪽)와 정운천 간사(맨 오른쪽) 함께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농단 최순실 사태 정국 속에서 사실상 국정 정상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면서 직무 복귀를 시작했다.

박 대통령이 18일 오후 2시 정종휴 주교황청 대사 등 새 대사 5명에게 신임장 수여하고 조태열 주유엔 대사에게 임명장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이 이날 오전 밝혔다.

또 박 대통령은 오후 2시 30분부터는 한광옥 비서실장, 박준성 중앙노동위원장 등 새롭게 임명된 정무직 10명에게 임명장 줄 예정이라고 정 대변인이 전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그동안 야당과 정치권을 비롯한 일각에서 크게 논쟁이 일었던 외치(外治) 영역인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과 관련해 “(일본이 여는 한·중·일 정상회담) 일정이 아직 확정이 안 됐지만 일정이 확정되면 아마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정 대변인이 밝혔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한국이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을 통보해왔다고 보도했다. 정 대변인은 “일정이 확정되면”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이미 “박 대통령이 참석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표명함에 따라 박 대통령이 사실상 참석하는 쪽으로 이미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또 박 대통령이 다음 주 예정된 국무회의에 참석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국무회의 주재 여부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도 “(다음 주 일정은) 다 확인해 보지 못했지만 있으면 알려 주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 정식으로 복귀하면서 모두 발언을 통해 최순실 사태와 관련한 사실상 3차 대국민 담화 성격의 메시지를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박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 시기와 20일 이전 작성되는 최순실씨의 공소장 기재 내용, 19일 예정된 촛불 민심 등이 향후 박 대통령의 발언 수위와 내용, 행보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이 공개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행동으로 국정 정상화에 대한 강한 의지와 함께 실제 직무 복귀 수순을 밟음으로써 향후 정국이 주목된다.

박 대통령에 대한 야권의 퇴진·하야 주장이 본격화되면서 박 대통령과 청와대,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 친박이 결집하고 여야가 ‘전통’ 지지지층 결집에 나서면서 사실상 최순실 정국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야당이 최순실 사태에 대한 실질적인 사태 수습책에 신속하게 돌입하지 않으면서 민심에만 기대 대책 없는 무책임한 박 대통령의 퇴진·하야 주장만을 외치다가 사실상 정국 혼돈에 대한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됐다.

박 대통령도 사실상 국정 마비 상태에 가까운 국정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내치(內治)는 물론 외치(外治) 행보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최순실 사태 이후 새 참모진과 적극 소통하면서 달라진 국정 운영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 청와대 본관과 관저에서 업무를 보면서 주로 전화와 서면으로 협의하던 기존 업무 방식에서 벗어나 3주 전부터는 비서진이 근무하는 위민관 집무실에서 온종일 집무를 보면서 정국 대책을 논의하고 수시로 참모들과 내부회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측은 “(박 대통령이) 이제는 참모와 국무위원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낮은 자세로 국정을 끌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확실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